학술논문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이용수 104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VR) Exhibition Space to Revitalize Arirang Festival: focusing on the local Arirang Festival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구선하(Sun Ha Goo)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484~49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리랑의 계승과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해 메타버스의 가상현실을 활용한 아리랑 축제 전시 공간의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리랑은 한민족 고유의 음악으로, 이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것은 문화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아리랑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는 아리랑 축제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핵심 기술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아리랑 축제의 전시 공간을 개발하고자 한다. 가장 오랜 역사의 밀양아리랑대축제와 정선아리랑제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새로운 가상현실 전시 공간을 제안한다. 가상현실 전시 공간의 개발을 위해 실제 지역 전통문화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가상현실 전시 공간을 적용한 사례들을 분석하고, 아리랑 축제의 가상현실 전시 공간을 창출하기 위한 공간 테마와 구성 요소를 제안한다. 나아가 지역별 특색을 강화하는 체험 콘텐츠를 마련하여 전시와 체험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가상 공간을 구성한다. 다양한 세대의 참여와 관광객 유치를 위한 현대적 재해석, 아리랑 계승 및 관광 역량 강화를 위한 체험 프로그램 확대, 지속적 개최를 위한 매력적인 콘텐츠 확대 등의 문제점 개선을 위해 3D로 구현된 아리랑 축제 가상세계와 스토리텔링형 영상 전시물 그리고 아바타를 활용한 전통 놀이, 지역 명소의 가상 체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아리랑 축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아리랑이 전 세대에 걸쳐 더욱 넓은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lan for developing an Arirang Festival exhibition space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metaverse to preserve Arirang and promote local cultural development. Arirang is a unique music of the Korean people, and preserving and passing it down is an important factor in cultural development. However, several problems were raised at the Arirang Festival, which plays a big role in revitalizing Arira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xhibition space for the Arirang Festival based on virtual reality, a core technology of the metaverse. Based on the Mil-ryang Arirang Festival, which has the longest history, and the Jeongseon Arirang Festival,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ssues and propose a new virtual reality exhibition space to address them. We analyze examples of VR exhibition spaces revitalizing local culture, propose themes and components for the Arirang VR space. Additionally, we prepare experiential contents highligh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a harmonious virtual space. To enhance participation across generations, promote Arirang's heritage and tourism, and expand engaging contents, we offer 3D Arirang experiences, storytelling videos, traditional avatar games, and virtual tours. Through these efforts, we aim to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Arirang Festival and hope that Arirang can expand to a wider audience across genera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가상현실을 활용한 아리랑 축제 전시 공간의 개발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