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이용수 111
- 영문명
- Emotional Design Analysis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for Service-oriented Virtual Human: focusing on Chinese Museum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루징이(JING YI LU) 정정호(Jung Ho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440~456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박물관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은 박물관 업계가 메타버스 진입하는 것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나라에 비해 중국 시장의 박물관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활용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적 디자인 및 UX 평가를 통해 박물관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탐구한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감성적 디자인 요소 및 UX평가 요인를 도출하였다. 둘째, 중국 박물관에서 대표적인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 사례대상으로 감성적 디자인의 세 가지 단계(본능적 단계, 행동적 단계, 반응적 단계)에서의 시각, 청각, 스토리텔링, 인터랙션, 즐거움, 만족도, 편리성 7가지 요소를 논의하였다. 셋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UX평가 기준과 전문가 인터뷰 대상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의 의미성, 유회성, 편리성, 유용성, 신뢰성, 상호작용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과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감성적 디자인 측면에서는 실제 인물을 모델로 전통 문화 요소를 결합해 외모를 디자인하고, 자연스러운 대화와 감정 표현을 사용하였다. 문화재 배경과 역사 이야기를 설명하고 다양한 상호작용 방식을 통해 참여도를 높였다. UX 평가에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몰입감, 자연스러운 언어와 시각 및 청각 요소로 즐거움, 간결한 정보 전달과 음성 상호작용으로 편리성을 높였다. 기능으로 개별 요구를 충족시키며, 자연스러운 음성과 데이터 보안으로 신뢰를 강화하고, 음성 인식과 얼굴 표정 일치성으로 상호작용 경험을 향상시켰다.
영문 초록
As the digitization of museums accelerates, service-oriented virtual humans are leading the museum industry's entry into the metaverse. Howev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application of service-oriented virtual humans in Chinese museums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This study explores ways to enhance the user experience of service-oriented virtual humans in museums through emotional design and UX evaluation. Firstly, the study identifies emotional design elements and UX evaluation factors through prior research. Secondly, it discusses seven elements—visual, auditory, storytelling, interaction, pleasure, satisfaction, and convenience—across the three levels of emotional design(instinctive, behavioral, and reflective) using representative cases from Chinese museums. Thirdl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study establishes UX evaluation criteria and selects expert interview subjects, identifying key factors affecting user experience: meaningful, pleasurable, convenient, usable, reliable, and interaction. Finally, the study synthesizes insights from case analysis and interview results. From an emotional design perspective, virtual humans are modeled after real people and incorporate traditional Chinese cultural elements in their appearance, using natural dialogue and emotional expression. They explain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artifacts and enhance participation through diverse interaction methods. Rich knowledge and engaging interactions attract visitor attention and enhance enjoyment. In terms of UX evaluation, diverse interactions increase immersion, while natural language and visual/auditory elements stimulate curiosity and engagement. Concise information delivery and voice interaction improve convenience. Functions such as inquiry response and route planning meet individual needs. Natural voice interaction and data security enhance trust, while improved voice recognition accuracy and facial expression consistency enhance user immersion and interaction experie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감성적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의 이해
4.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 평가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