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metaverse) 시대의 미술교육

이용수 9874

영문명
Art Education in the Era of Metaverse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경아(Lee Kyung A)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5券 3號, 324~348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메타버스와 관련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고 미술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혁명의 사회, 문화적 패러다임은 교육 현장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이제 메타버스로 새로운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과 특성을 ‘가상공간 오디세이’와 ‘아바타 라이프’로 설정하고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접점을 제시한다. 미술교육에서 메타버스 활용의 의의는 가상 플랫폼의 활용,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확장된 판타지와 증강현실 측면에서 분석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의 실행 연구가 주축이 된다. 이에 따른 연구 사례로는 2021년 상반기에 연구자의 지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을 모니터링하고 추출한 수업 결과물 5개와 외부 관찰 사례 1개를 제시한다. 6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연구 내용의 핵심은 비대면 온라인 원격수업을 고려한 주제로 구성된다. 세부 영역은 3D 아바타로 소통하는 화상 수업, VR, AR 기반 3D 뮤지엄 기획 및 건축, 위성 사진을 활용한 미적 체험, 언택트 360° VR 전시회, 가상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움직이는 명화 만들기이다. 연구 결과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메타버스 온택트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은 시공간을 초월한 상호소통에 효과적이었으며 융합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 동기 유발, 매체 활용의 측면에서 새로운 자아 표현의 도구로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Metaverse has become a hot issue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metaverse and to present the usability of metaverse in art education. The social and cultural paradigm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brought a lot of changes in the education field, and continue to extend into a new area of metaverse.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are established as “virtual space odyssey” and “avatar life”, and their cross section is presented in relation to art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using metaverse in art education is analyzed in terms of utilizing virtual platform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xpanded fantasy, and augmented reality. This is mainly an execution stud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in the education field. As for study cases, this study presents five class outputs after monitoring teaching-learning for students of the researcher and one external observation case executed in the first half of 2021. The core of the research content divided into six sub-areas consists of a subject that considers ontact on-line remote classes. Sub-areas include video classes communicating with 3D avatars, VR and AR-based 3D museum planning and architecture, aesthetic experiences using satellite maps, untact 360° VR exhibitions, virtual interior simulation, and making animated classical paintings. Results reveal that classes that utilize the metaverse ontact platfor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offer effective in intercommunication across time and space,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increasing enhancing student interests and motivation levels further suggests metaverse as a new device that allows self- representation by utilizing media.

목차

Ⅰ. 여는 글
Ⅱ. 메타버스의 개념과 특성
Ⅲ. 미술교육에서 메타버스 활용의 의의
Ⅳ. 미술교육에서 메타버스 활용의 실제
Ⅴ. 맺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아(Lee Kyung A). (2021).메타버스(metaverse) 시대의 미술교육. 미술교육논총, 35 (3), 324-348

MLA

이경아(Lee Kyung A). "메타버스(metaverse) 시대의 미술교육." 미술교육논총, 35.3(2021): 324-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