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이 고등학생의 미디어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23
- 영문명
- The Effect of Art Criticism Education focusing on AI-based Art on Highschool student s Media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예진(Kim, Ye Jin) 김효정(Kim, Hyo Ju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5券 3號, 29~5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미디어 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많은 양의 정보를 분석하고 판단하여 활용하는 능력이 이 시대의 핵심역량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이 고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학생 30명을 선정하였고, 천혜선(2016)이 개발한 미디어 리터러시 검사지를 사전과 사후검사에 활용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수업은 학습자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미술의 창작과정을 탐구하며 미디어 사회를 반영하는 인공지능 미술작품을 비평하고, 인공지능을 직접 활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 수업의 사전·사후 검사지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고, 학습자의 수업 결과물은 질적 분석하여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은 고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하위영역인 미디어 이용 통제, 미디어의 도구적 활용, 시민미디어에 대한 이해, 개인창작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새로운 융합적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With the development of new science and technology, the ability to analyze, judge and utilize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is emerging as a key competence of this era.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mpact of art criticism education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art on media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targets were 3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designed to allow learners to criticize artificial intelligence artworks and produce their own work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statistics of pre-post media literacy test using the SPSS Ver. 21.0 program, art criticism classes have made significant changes in media literacy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sub-section such as media use control, tool use of media, understanding citizen media, and personal cre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rt criticism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투 자연미술이 가지는 미술교육적 함의
-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뮤지엄 학습환경 고찰
- 메타버스(metaverse) 시대의 미술교육
- 중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이야기 그림검사(DAS)에 나타난 정서 비교 분석
- 번역을 통한 미술학습의 실천
- 장애 성인 대상 예술강사의 직업·조직·역할 정체성 구성 개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미술관의 환경적 책임과 환경 관련 예술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돌봄교실아동과 일반아동의 새둥지화에 나타난 또래관계 연구
-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이 고등학생의 미디어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대학원 파견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교사의 미술교육전문성 신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메타인지를 활용한 입체도형 드로잉 교육 효과
- 미래교육의 원리 미술교육에서 찾다
- 디지털 시대 사진이미지의 존재론
- ’그림 모으기’ 너머
- 美術敎育論叢 第35券 3號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