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이용수 97
- 영문명
- A Study on Design Psychology on the Thinking Action of Users: Focusing Case Study on the Principles of Design Psycholog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윤병권(ByoungGoun YU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399~40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에 관한 연구로서 인간의 인지체계 및 정보처리 과정에 대한 이론을 선행 고찰하고 디자인학, 심리학, 뇌 과학 등 관련 문헌조사를 토대로 하여 디자인 심리 원리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천장의 높낮이에 따라 사고 성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천장이 높은 공간에서는 창의성이 촉진되고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는 구체적인 사고가 촉진되었다. 두 번째, 사용성과는 별개로 심미성이 좋은 디자인이 사용자의 긍정적 태도를 강화시키고 문제 발생 시에도 너그러운 태도로 문제 해결 방법을 탐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어떤 상황을 경험하기 전 긍정적인 표현이나 경험을 먼저 제시하는 것이 사용자의 인식이나 판단, 행동, 기억 작용에 긍정적 효과를 심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시각적 자극이 물리적 파동과 중추신경을 활성화시켜 인간의 행동, 생각에 심리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섯 번째, 디자인의 일관성은 사용자의 행동과 신속한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가족 유사성은 고정된 형태가 아니더라도 상호 연관성만 있으면 된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사용자들이 디자인을 판단하는 선호 또는 편향 성향이 디자인 심리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파악한 것이며, 한계점으로는 사용자들의 사고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디자인 심리 원리를 함께 다루지 못한 것이다. 향후 이어지는 연구를 통해 추가, 보완하여 진행되길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y of design psychology affecting users' thinking actions, focusing on the human cognitive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Based on related literature studies such as design, psychology, and brain science, th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case analysis of design psychology principl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endency of thinking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ceiling, and creativity was promoted in spaces with high ceilings and specific thinking was promoted in spaces with low ceilings. Second, apart from usability, it was found that a design with good aesthetics reinforces users' positive attitudes and explores problem-solving methods with a generous attitude even in the event of a problem. Third, by first presenting positive expressions or experiences before experiencing a situation,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perception, judgment, behavior, and memory. Fourth, it has been shown that visual stimuli activate physical waves and central nerves, causing psychological changes in human behavior and thoughts. Fifth, design consistency has been shown to affect user behavior and quick decision-making, but family similarity only needs to be interrelated, even if it is not in a fixed for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at the preference or bias that users judge design is related to design psychology. As a limitation, it failed to deal with the design psychological principles that negatively affect users' thinking formation. Furthermore, it is proposed to be conducted by supplemented and supplemented.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사용자의 사고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심리 원리의 사례 분석
4.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