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이용수 38
- 영문명
- Analysis of Design Elements for IoT Home Camera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Focusing on Emotional Evaluation and Design Preference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박다현(Da Hyun Park) 배예나(Ye Na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130~141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1인 가구의 비율이 상승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범죄도 동시에 증가함에 따라 홈 시큐리티 제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홈 시큐리티 제품인 홈캠을 대상으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홈캠의 현황과 최근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제품 구매 시 고려하는 시각적 요소를 고찰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형태, 색상, 재질로 도출된 디자인 요소에 대해 경남지역 2-30대 66명을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진행한 후 SD 평가 방법을 통해 제품 이미지에 대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제품 디자인에 대해 형태적 측면으로는 곡선적이며 안정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며 간결한 디자인이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색상에 있어서는 주로 두 가지 색상 조합을 가장 많이 선호하며, 편안한 느낌의 색상 사용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질에 있어서는 유광보다 무광을 더 선호하며, 견고하며 고급스러운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최종 홈캠 디자인 안 3가지를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향후 홈 시큐리티 제품 디자인을 위한 심도 있는 분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s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recently increased, interest in home security products has surg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design directions for Home Cameras. After conducting a perception survey on design elements derived from shape, color, and material, an emotional evaluation of the product images was performed using the SD method. The research found that in terms of product design, curved and stable designs were sought after, and simplicity wa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color, combinations of two colors were most preferred, and the use of colors that convey a sense of comfort was found to be appropriate. Regarding materials, matte finishes were preferred over glossy ones, and choosing robust, luxurious materials was identified as crucial. Three final home camera design proposals have been presented, and it is hoped that these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in-depth analysis studies for future home security product desig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및 결과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