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이용수 7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Zaha Hadid's architecture from a multi-perspective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박성춘(Sung Chun Park) 오윤숙(Yun Sook Oh) 문선희(Sun hee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223~24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하 하디드는 1980년대 탈구조주의 시대에서 해체주의 건축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여 2000년대 이후 디지털 건축이 일반화되면서 유기적 비선형구조의 건축을 선도하였다. 그녀가 작고하기 전까지 남긴 수많은 건축은 현대건축의 발전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다. 다시점적 관점은 공간철학에서 해체주의 건축의 분석틀로 사용되는 모형으로 건축의 형태와 공간이 가지고 있는 은유와 본질적 의미를 찾아내어 현대사회의 다원화된 다양성이 내재한 현대건축을 인지할 수 있는 관점으로서 그녀의 건축에 대해 다의적 관점에서 건축적 특성을 연구하는 것은 현대건축의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파악하는 데 커다란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하 하디드 건축의 전반적인 작품을 추적 조사하여, 그녀가 보여준 작품의 특성을 다의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자하하디드는 해체주의로부터 시작하여 디지털 건축으로의 변화를 보이며 구조주의에서 보여왔던 기능 중심의 건축을 다의적 해석이 가능한 공간으로 바꾸어 놓았다는 점이다. 그녀는 해체주의의 사선과 예각으로 다시점의 확장성을 만들어내고 디지털 건축에서 보여준 비선형적 유기성을 통해 다시점적 공간의 확장성을 가져왔다. 이러한 건축의 확장성 연구는 그녀의 건축적 특성을 이해하는 학술적 연구뿐만 아니라 현대건축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성을 연구하는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Zaha Hadid began to make a name for herself with deconstructionist architecture in the post-structuralist era of the 1980s, and led the way in organic, non-linear architecture as digital architecture became common after the 2000s. The numerous buildings she left behind before her death left a significant mark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e. The multi-semantic perspective is a model used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in space philosophy. It is a perspective that can recognize modern architecture inherent in the pluralistic diversity of modern society by discovering the metaphors and essential meanings of architectural forms and spaces. As such, studying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er architecture from a multi-semantic perspective is judg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the future of modern architecture. Therefore, this study traces Zaha Hadid's overall architectural work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her works from a multi-semantic perspective, and draws conclusions. In conclusion, Zaha Hadid started from deconstructionism, showed a change to digital architecture, and changed the function-oriented architecture seen in structuralism into a space that can be interpreted multiple times. She created the expandability of multi-perspectives through the diagonal lines and acute angles of deconstructivism, and brought about the expandability of multi-perspective space through the non-linear organicity shown in digital architec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다시점적 관점
4. 다시점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