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94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nceptual Desig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문우(Mun Woo Lee) 권순걸(Soon Gul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168~17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40년대에 이미 머신러닝(ml)이 개발되었지만 계산능력 및 데이터 부족으로 응용가치는 낮았다. 그 이후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데이터의 축적을 기반으로 하여, 인공지능 특히 머신러닝은 디자인 분야에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도구로서 학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미지 생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도 그러한 관심의 일환이다. 그런데 실무적으로는 머신러닝으로 생성하는 이미지는 다양하나 이미지의 해상도 등이 디자이너의 요구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한 점, 독창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에는 부족한 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선행연구의 관점이 목적론적으로 편향되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 볼 필요가 있는 대목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학제적 논의와 현실의 실무 사이의 간극은 어떠한지, 그러한 간극을 해소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미지 생성을 실무에 안착할 수 있는 계기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ml)의 생성적 대립신경망(GAN)에 관한 문헌조사를 기초로 하여 실제 생성되는 이미지가 제품 디자이너 입장에서 수용될 수준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태도 등을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통하여 군집, 정보추출, 감성분석을 하기로 한다. 그를 통하여 제품 디자인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학제적 입장이 아닌 소비자 내지 실무가의 입장을 탐색하였다.
영문 초록
Machine learning(ml) was already developed in the 1940s, but its application value was low due to limited computational power and lack of data. Since then, based on advancements in computer technology and data accumul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particularly machine learning, has gained interdisciplinary attention as a tool for providing insights in the field of design. Recently, numerous prior studies on image gener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emerged, reflecting this growing interest. However, from a practical standpoint, there are several criticisms: the images generated by machine learning often lack the resolution required by designers, and they fall short in providing original images. It is worth examining whether the perspectives of these prior studies are becoming teleologically bia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gap between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seeking to bridge this gap and integrate AI-generated image creation into practical use. This research i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GANs) in machine learning(ml), examining whether the images generated are acceptable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 designers. Based on this, we will use text mining methods to perform clustering, information extraction, and sentiment analysis to understand consumer attitudes. Through this approach, we aim to explore the potential use of AI in product design from the standpoint of consumers and practitioners rather than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