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이용수 78
- 영문명
- Research on Chinese Rural Mural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Rural Revit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기육철(YuZhe Qi) 임홍안(HongYan Ren) 한강월(JiangYue Han) 장정(Jing Zhang) 기정신(ZhengChen Qi)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9~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농촌 벽화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수요를 탐구하고, 농촌의 아름다움을 증진하기 위한 제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다. 연구는 질적인 반구 조화된 인터뷰와 양적인 계층적 분석 프로세스(AHP)를 결합한 방법론을 채택하여 보다 객관적인 조사를 수행한다. 우선, 인터뷰를 통해 농촌 벽화 개선을 위한 사용자의 제안과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주요 요구사항을 요약하였다. 그 다음, AHP를 활용하여 추출된 주요 요구사항에 가중치를 할당하고 순위를 매겼다. 연구 결과, 농촌 벽화 개선을 위한 사용자의 요구는 주로 주제와 내용, 디자인과 창의성, 공간과 환경 세가지 주요 범주에 집중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더불어 AHP 방법을 추가 적용하여 지역 특성, 자연 환경, 생활 장면, 주제 창의성, 문화유산, 공예 기법 등의 개념적 요구사항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벽화의 다양한 주제 창의성, 문화 관광 개발, 지역사회 참여 및 공동 건설 등을 포함한 관련 개선 제안과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이 연구는 디자이너들이 농촌 문화와 인문 지형 등을 탐구하고 계승하는 것을 강조하여 디자이너의 디자인 사고를 확장시키고, 농촌 벽화 예술의 발전을 촉진하며, 농촌 부흥을 위한 문화적 지원과 동력을 제공하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 벽화 디자인 실천에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학계와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참고 자료와 영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mands of users for the design of rural wall murals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rural revitalization, and to propose suggestions for rural beautification. The research adopts a combined approach of qualitative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quantitativ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o achieve a more objective investigation. Firstly, user suggestions and demands for improving rural wall murals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and key requirements were summarized. Secondly, AHP was applied to assign weights and rank the extracted key requirement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users' demands for improving rural wall murals are mainly concentrated in three major categories: theme and content, design and creativity, and space and environment. Furthermore, by further applying the AHP method, the concep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natural environment, living scenes, theme creativity, cultural heritage, and craftsmanship are ranked higher in deman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also proposes relevant improvement suggestions and design ideas, including diversified thematic creativity of murals, cultural tourism development, community participation and co-construction. The study emphasizes the exploration and inheritance of rural culture and human landscapes by designers, broadening the design thinking of designers,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rural mural art, providing cultural support and driving force for rural revitalization.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substantive guidance for the practice of rural mural design, and valuable references and inspirations for academia and practitioners.
목차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Investigation
3. Research Methods
4. Discussion and analysis
5. Conclusion
6.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