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이용수 2041
- 영문명
- A Study on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and Teachers’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손지현 김영주 이혜선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7券 1號,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과 구성 요소를 조사하고, 미술교육에서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제안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정보를 찾고 평가하고 조합하는 능력을 가리켰으나 점차 비판적 사고와 윤리를 강조하고 시민성과 참여까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디지털 텍스트 접근과 비판적 이해’, ‘디지털 콘텐츠 및 작품의 창의적 제작’, ‘디지털 콘텐츠 및 작품의 감상과 향유’, ‘디지털 윤리 및 성찰’, ‘디지털 시각적 소통과 협업적 참여’의 5가지 하위 영역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는 ‘기술적 능숙도’, ‘교육학적 적용 능력’, ‘사회적 인식과 참여’의 측면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신장하여야 한다. 더불어, 디지털 시대 미술교육에서의 핵심 가치가 무엇인지에 주목하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우리의 삶과 미술교육의 관계성에 대해 성찰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conceptualizes digital literacy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and suggests teachers’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Digital literacy has been referred to as the ability to find, evaluate, and combine digital information, but gradually developed into a concept that emphasized critical thinking ethics and encompassed citizenship and participation.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we derived five categories such as ‘approach to digital texts and critical understanding’, ‘aesthetic appreciation and enjoyment of digital contents and works’, ‘creative production of digital contents and artworks’, ‘digital ethics and reflection’, and ‘digital vis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particip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Teach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can be composed in terms of ‘technical proficiency’, ‘pedagogical application ability’, and ‘social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ponder what is the core value of art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and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lives and ar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Ⅲ. 미술교육에서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이 학생들의 학교문화와 삶에 미치는 영향
- 미술대학에서 세계시민교육 실행의 문제점과 실천 방향
-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
- 비전공자 대상 예술 관련 마이크로 전공 개발과 운영의 쟁점에 관한 연구
- 미술관 온라인콘텐츠의 교육적 효용에 관한 연구
- 줄리아 마샬(Julia Marshall)의 탐구모델을 중심으로 한 예술통합교육의 커리큘럼 개발 및 실행 방안 연구
- 예술중심의 통합교육 제고를 위한 통합적 인지 원리 탐구
- VR(틸트 브러쉬/Tilt Brush) 미술교육 현장의 효율적 전개를 위한 한국화 이미지 활용방안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