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중심의 통합교육 제고를 위한 통합적 인지 원리 탐구
이용수 593
- 영문명
- Exploring Principles of Integrated Cognition for an Arts-Centered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Embodied Cogni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지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7券 1號, 211~23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1년부터 STEAM 교육이 정책적으로 장려되면서 통합예술교육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예술의 형식적인 요소만을 차용하는 병렬적 통합, 예술을 통해 함양될 수 있는 풍부한 인지적 효과가 발현되지 못하고 보조적 수단에만 그치는 통합예술교육이 성행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예술이 중심이 되는 통합교육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재고하고, 질적인 예술중심 통합교육 구현을 위한 통합적 인지의 원리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위해 체화 인지(embodied cognition) 이론에 기초하여 상상력, 내러티브 및 개념적 혼성, 통합적 인지로서의 느낌, 다중감각 및 다중양식, 매체와의 창의적 상호작용에 대해 논의하고 사례들을 살펴본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서 예술의 특성이 더욱 발현되도록 하는 인지적 작용에 대한 기초 이론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Since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STEAM education in 2011, arts integration has become widespread. However, arts integration has often been perfunctory, with arts elements simply combined and used as supportive tools rather than fully enhancing the various cognitive effects of the arts.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to rethink the purpose and value of arts-centered integration and explore principles of integrated cognitive processes that promote meaningful arts integration. Drawing on embodied cognition theory, this study discusses cognitive mechanisms such as imagination, narrative and conceptual blending, the integrated nature of feeling, multi-sensory, and interaction with tools. Examples of applying these principles are also present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gnitive processes that enhance the attributes of an arts-centered integrated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예술중심 통합교육과 체화 인지론
Ⅲ. 예술중심 통합교육에서 고양되는 통합적 인지
Ⅴ. 체화 인지 적용 예술중심 통합교육의 사례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이 학생들의 학교문화와 삶에 미치는 영향
- 미술대학에서 세계시민교육 실행의 문제점과 실천 방향
-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
- 비전공자 대상 예술 관련 마이크로 전공 개발과 운영의 쟁점에 관한 연구
- 미술관 온라인콘텐츠의 교육적 효용에 관한 연구
- 줄리아 마샬(Julia Marshall)의 탐구모델을 중심으로 한 예술통합교육의 커리큘럼 개발 및 실행 방안 연구
- 예술중심의 통합교육 제고를 위한 통합적 인지 원리 탐구
- VR(틸트 브러쉬/Tilt Brush) 미술교육 현장의 효율적 전개를 위한 한국화 이미지 활용방안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