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이 학생들의 학교문화와 삶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9
- 영문명
-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Youth Autonomous Learning Center on Students' School Culture and Life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장수지 정현일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7券 1號, 107~1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 청소년 자치배움터 은하수학교의 예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은하수학교만의 학교문화가 형성되는 과정과 특징,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지역사회협력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학교문화와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을 연구하기 위해 예술 프로젝트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문화기술적 사례연구(ethnographic case study)를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은하수학교 예술 프로젝트 중 하나인 ‘스페이스팀’을 주된 연구 참여팀으로 선정하였다. 은하수학교의 학교문화를 연구하기 위해 스페이스팀의 공간 프로젝트와 청소년자치회, 길잡이교사회, 성장나눔회 등을 참여관찰하였고, 연구 참여자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학습자의 삶의 맥락에서 시작하여 다른 프로젝트팀과 협업하며 지역사회 및 은하수학교 공동체의 장소 정체성을 찾아갔다. 은하수학교에는 존중하는 문화, 학생 주도 자치, 과정 중심, 연대의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고 이러한 학교문화는 청소년들에게 주인의식과 문제해결력, 책임감 및 리더십, 자신감과 도전정신, 의사소통능력, 갈등해결능력, 교우관계, 사회성, 협업 능력 향상에 영향을 끼쳤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the Eunhasu School, a youth autonomous learning center in Incheon. The study found tha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begins by understanding the learners' lives and collaborating with other project teams to identify the community's identity. The study identified four school cultures being formed in the Eunhasu School. The first was a culture of respect, which was established through the circle process and resulted in adolescents internalizing the value of respect, respecting others elsewhere, and improving their self-esteem by being accepted for who they are. The second culture was student autonomy, which actively influenced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sense of ownership, problem-solving skills, responsibility, and leadership. The third culture was process-oriented learning, which aimed to restore the subjectivity and value of learning. Through this approach, adolescents gained confidence, a spirit of challenge, and recognized the Eunhasu community as a safe space to find joy in learning. Finally, the fourth culture was solidarity in various fields, which allowed adolescents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humans by meeting with members beyond age and occupation. Overall, the study demonstrated the positive effect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on the school culture and the personal growth of adolescents in the Eunhasu School.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학교문화와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이해와 실천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실행과정과 결과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이 학생들의 학교문화와 삶에 미치는 영향
- 미술대학에서 세계시민교육 실행의 문제점과 실천 방향
-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
- 비전공자 대상 예술 관련 마이크로 전공 개발과 운영의 쟁점에 관한 연구
- 미술관 온라인콘텐츠의 교육적 효용에 관한 연구
- 줄리아 마샬(Julia Marshall)의 탐구모델을 중심으로 한 예술통합교육의 커리큘럼 개발 및 실행 방안 연구
- 예술중심의 통합교육 제고를 위한 통합적 인지 원리 탐구
- VR(틸트 브러쉬/Tilt Brush) 미술교육 현장의 효율적 전개를 위한 한국화 이미지 활용방안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