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이용수 22
- 영문명
-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Direction of Descriptive type and Essay type Assessment in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김향미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92집, 27~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변화하는 현대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을 창의적,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수방법과 평가에 대한 관점도 변화하고 있다. 특히 종전의 객관식 단답형 문항 중심 평가만으로는 학습자의 이해도를 충분히 측정하기 어렵다는 지적 하에, 우리나라에서도 서술형, 논술형 평가가 교육과정 상에 명문화 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 현장에 대한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적용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서술형·논술형 평가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술과에서의 서술형·논술형 평가는 학생들의 분석력, 비판력, 판단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의 고등사고능력을 측정하는 데 유용하며, 이를 통해 비판적 사고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교수방법으로 선순환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향후 서술형·논술형 평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o actively respond to the diversifying modern society, the ability to accept and utilize new knowledge creatively and critically is required, and the perspective on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is changing accordingly. In particular,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difficult to adequately measure learners' understanding with the existing multiple-choice, short-answer, question-based evaluation. In Korea, descriptive type and essay type assessments are stipulated in the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descriptive type and essay type assessments to the field of art education. To this e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se assessments was examined, and the contents related to descriptive type and essay type assessments were analyz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escriptive type and essay type assessments in the national art curriculum are useful in measuring students' advanced thinking skills such as analytical ability, critical ability, judgment,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and through this, it can lead to a virtuous cycle as a teaching method that can cultivate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fact that such conclusions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descriptive type and essay type assessments.
목차
I. 서론
Ⅱ.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이론과 실제
Ⅲ.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서술형·논술형 평가 관련 내용 분석
Ⅳ. 결론 :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방향성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 선택적 함구증 아동의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 창의성과 상상력 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방향성
- 생태학적 전환을 위한 미술교육 접근으로서 ‘존재 감각적 만들기’ : 팀 잉골드의 ‘만들기(making)’ 개념에 대한 철학적 고찰
- 미술과 교사 교육에서 디지털 기반 내러티브 교육과정에 대한 델파이 연구
- 『造形敎育』 발간을 통한 연구 축적 및 이론적 체계 정립을 통한 정통성과 정체성 확립
-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AI(인공지능) 미술 수업 사례를 통한 미술 교육 방향 탐구 : 중학교 미술 교육을 중심으로
- 대화중심 감상법과 시각화 표현 활동 중심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H 서예 동아리에서의 문화 간 교류와 문화 적응 : 중국 유학생의 관찰과 체험
-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사회정의 실천을 위한 사회공헌 디자인 (Philanthropy Design) 프로젝트 실행연구
- 디지털 전환 시대 미술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제안
- 내적 심상의 은유적 풍경 작업을 통한 감정 소통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AI 시대에 미술을 가르치는 사람 : 미술교사의 역할 재탐색
- UNESCO AI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2024)의 미술교육적 함의
- 느린 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미술교육 전략에 대한 방안 모색 : 교사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에 기반한 디자인 수업 사례연구 :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 중심으로
- 디지털 대전환 시대 하이터치 교육으로서 미술과 사회정서학습 (A-SEL) 제안
- 우울을 경험하는 시각예술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