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사회정의 실천을 위한 사회공헌 디자인 (Philanthropy Design) 프로젝트 실행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An Action Research on Philanthropy Design Project for Practicing Social Justice in Middle School Art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민 성열관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92집, 343~36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정의 실천을 위한 사회공헌 디자인 프로젝트 실행 후 운영 결과를 성찰하고, 미술교육을 통한 사회정의 실천의 시사점을 제공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회정의 실천으로서 미술교육은 고운 색이나 아름다운 형태 탐구가 아니라 사회적 쟁점이 될 수 있는 문제들을 꾸준히 소통하며 이를 해결하는 삶과 연계된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사회공헌 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찾아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며 참신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의 교수·학습’ 차원에서 내용 요소인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깊이 있는 교육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수업의 전개는 1단계(정서) 영역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으로 학생들에게 삶과 연계된 깊이 있는 경험이 되었으며, 2단계(인지) 영역에서는 과정과 기능의 절차적인 지식으로 협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신장하게 되었고, 3단계(행동) 영역에서는 가치와 태도 측면에서 내면화하여 삶과 연계된 사회정의의 실천 능력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of the philanthropy design project for practicing social justic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cing social justice through art education. Art education as a practice of social justice is not an exploration of beautiful colors or shapes, but a practice linked to life that continuously communicates and solves problems that can become social issues. Accordingly, through the philanthropy design project, problems are found in socio-cultural aspects, public interests are pursued, and problems are solved with novel and original design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in-depth education by organically linking the content element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process and function, and value and attitude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Curriculum Design and Operation.’ In the first stage (emotion), the class was developed as a student- participatory class, which provided students with a deep experience related to life. In the second stage (cognitive) area, the procedural knowledge of process and function enhanced cooperation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in the third stage (behavioral) area, the ability to practice social justice linked to life was demonstrated by internalizing it in terms of values and attitude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과정 및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 선택적 함구증 아동의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 창의성과 상상력 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방향성
- 생태학적 전환을 위한 미술교육 접근으로서 ‘존재 감각적 만들기’ : 팀 잉골드의 ‘만들기(making)’ 개념에 대한 철학적 고찰
- 미술과 교사 교육에서 디지털 기반 내러티브 교육과정에 대한 델파이 연구
- 『造形敎育』 발간을 통한 연구 축적 및 이론적 체계 정립을 통한 정통성과 정체성 확립
-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AI(인공지능) 미술 수업 사례를 통한 미술 교육 방향 탐구 : 중학교 미술 교육을 중심으로
- 대화중심 감상법과 시각화 표현 활동 중심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H 서예 동아리에서의 문화 간 교류와 문화 적응 : 중국 유학생의 관찰과 체험
-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사회정의 실천을 위한 사회공헌 디자인 (Philanthropy Design) 프로젝트 실행연구
- 디지털 전환 시대 미술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제안
- 내적 심상의 은유적 풍경 작업을 통한 감정 소통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AI 시대에 미술을 가르치는 사람 : 미술교사의 역할 재탐색
- UNESCO AI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2024)의 미술교육적 함의
- 느린 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미술교육 전략에 대한 방안 모색 : 교사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에 기반한 디자인 수업 사례연구 :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 중심으로
- 디지털 대전환 시대 하이터치 교육으로서 미술과 사회정서학습 (A-SEL) 제안
- 우울을 경험하는 시각예술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