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Western Painting Practice Classes in Art Colleges Utilizing classic Painting Techniques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empera Technique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시원상(Won Sang Si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1號, 78~101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대학의 회화실기 수업 교육과정으로써 고전 회화기법 교육의 필요성과방향성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고전 회화기법은 16세기 고전 아카데미 교육과정을거치면서 재료 및 기법에 관해 정립되기 시작했고 현대 회화표현기법의 토대를 이루었다. 그러나 현재, 이 부분은 현대회화의 자유분방한 표현성과 작품론에 가려져표현기법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국내 교육과정에서는 찾아보기가 어려워졌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기 시작한 16세기중반 유럽 미술 아카데미와 21세기 해외 미술대학이 적용하고 있는 고전 회화기법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국내 미술대학 ‘기초회화’ 실기 수업에 템페라기법 적용 수업사례를 통해 고전 회화기법 활용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대학의 고전 회화기법 활용 수업사례분석을 통해 ‘시대적 사회인식’, ‘매체의 정확한 인식과 기법 운용력’, ‘기법 활용을 통한 표현성 확대’ 등이신장하는 교육적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미술대학의 실기 교과 과정에 접목한다면 그동안 부족했던 재료 및 기초회화 기법의서양화실기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classical painting techniques education within the curriculum of painting practice courses in art colleges. Classical painting techniques began to be systematized during the classical academy curriculum of the 16th century, forming the foundation of modern painting expression techniques. However, these techniques are often underappreciated in contemporary education due to the emphasis on the expressive freedom and theories of modern painting, making it difficult to find in domestic curricula. This research analyzes the connections between the art academies of mid-16th century Europe, which began establishing systematic art education, and the classical painting techniques curricula implemented in 21st-century international art colleges. Furthermore, it evaluate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lassical painting techniques through case studies of tempera technique applications in “basic painting” practice classes at domestic art colleges. Through analyzing the case studies of classical painting techniques utilized in art college classes, the study identifies educational benefits such as enhancing “historical and social awareness,” “accurate understanding of mediums and technical proficiency,” and “expanding expressiveness through technique util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미술대학의 고전 회화기법 활용
Ⅲ.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실기 수업사례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 아동이 미술 수업에서 경험하는 즐거움의 의미
- 포스트 디지털 시대 공간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인공지능과 지역사회가 만나는 미술교육 - 고등학교 프로젝트 기반 학습 사례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기반 다양한 학습자를 고려한 평가 방안 탐색 - 취약 역량 함양을 위한 성취기준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사진을 통한 청소년 관람객의 미술관 작품 감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전국미술교과모임의 창립 배경과 문제 인식
- 바이오디지털아트(Bio-digital Art)의 융합적 특성과 미술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자아 정체성 탐색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 학습자들의 삶과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미술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형성 및 변화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XR 기반 예비 미술교사 교육의 활용 탐색 - 수업 시뮬레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현대미술에 표현된 작가의 부캐, ‘멀티 페르소나(Multi-Persona)’의 심리적 의미
- 즐거운 생활과 미국 1~2학년 미술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 미술 중심 융합교육에서 개념 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적용 및 제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