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진을 통한 청소년 관람객의 미술관 작품 감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n Adolescent Museum Visitors' Experiences of Artwork Appreciation through Photography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곽서영(Seo Yeong Kwak) 이현정(Hyeon Jeong Lee) 김선아(Sun Ah Kim)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1號, 292~319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활 속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진이 미술관 관람을 돕는 도구로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미술관 청소년 관람객의작품 감상 과정에서 사진 촬영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색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참여 관찰을 통해 청소년들의 전시 감상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전시 관람 이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감상과정에 대한 서술 자료를 수집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관람객은 미술관 작품 감상 과정에서 자신만의 사진 프레임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속에서 개인적인 맥락을 반영하여 작품의 의미를 형성해 나가는 모습을 관찰할 수있었다. 또한, 그 과정 안에서 스스로 선택권을 가지는 작품 감상의 주체로 자리함을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은 미술관에서 사진이 청소년 관람객의 개인적인맥락을 반영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사진은 미술관 작품 감상과정에서 단순한 기록 수단뿐만 아니라, 감상 경험을 확장하는 적극적인 매개체로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riginates from the recognition that photography, which is commonly used in everyday life, has become an integral tool for museum visits. Accordingly,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photography in the process of artwork appreciation among adolescent museum visitors.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to examine how adolescents engage with exhibitions,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after their visits. Additionally, narrative inquiry was performed by collecting written reflections from participants about their appreciation experiences. The findings reveal that adolescent visitors construct their own photographic frames during the appreciation process, incorporating personal contexts to shape the meaning of artworks. Furthermore, this process allows them to establish themselves as active agents in their appreciation experiences by exercising their own choi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hotography can serve as a tool for reflecting the personal contexts of adolescent museum visitors. In other words, photography in museum art appreciation is not merely a means of recording artworks but also a dynamic medium that expands appreciation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 아동이 미술 수업에서 경험하는 즐거움의 의미
- 포스트 디지털 시대 공간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인공지능과 지역사회가 만나는 미술교육 - 고등학교 프로젝트 기반 학습 사례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기반 다양한 학습자를 고려한 평가 방안 탐색 - 취약 역량 함양을 위한 성취기준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사진을 통한 청소년 관람객의 미술관 작품 감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전국미술교과모임의 창립 배경과 문제 인식
- 바이오디지털아트(Bio-digital Art)의 융합적 특성과 미술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자아 정체성 탐색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 학습자들의 삶과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미술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형성 및 변화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XR 기반 예비 미술교사 교육의 활용 탐색 - 수업 시뮬레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현대미술에 표현된 작가의 부캐, ‘멀티 페르소나(Multi-Persona)’의 심리적 의미
- 즐거운 생활과 미국 1~2학년 미술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 미술 중심 융합교육에서 개념 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적용 및 제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