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미술에 표현된 작가의 부캐, ‘멀티 페르소나(Multi-Persona)’의 심리적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the Artist’s Secondary-Character, ‘Multi-Persona’ Expressed in Contemporary Art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정영인(Young In Chu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第39券 1號, 411~43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미술에 표현된 작가의 부캐, 멀티 페르소나의 의미를 살펴보고, 미디어 환경에 자신의 다양한 정체성을 드러내는 부캐 현상에 익숙한 세대에게자신의 정체성 탐구할 수 있는 미술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마르셀 뒤샹, 페이스 링골드, 신디 셔먼의 작품에 표현된 그들의 멀티 페르소나에담긴 심리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첫째, 작품 속 멀티 페르소나는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으로, 외부세계와 상호작용을 위한 외적 인격으로서 외부와내부를 이어주는 인터페이스가 되었다. 둘째, 멀티 페르소나는 사회·심리적 저항의표현으로 전통적인 성 역할 정체성을 거부하거나 젠더리스와 같은 ‘다중적 젠더정체성’을 나타냈다. 셋째, 멀티 페르소나는 ‘탈중심화된 자기’로서 부캐 속에 자신의본캐를 숨김으로써 비로소 자신을 성찰하고 자아를 재정립 할 수 있었다. 이러한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현대미술에 표현된 멀티 페르소나는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작가들의 꿈을 실현시켜 주는 ‘대체된 자아’로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자신의정체성을 탐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artist’s secondary-character, multi-persona expressed in contemporary art, and suggests art education implications for the generation familiar with the phenomenon of secondary-character, which reveals their various identities in the media environment, to explore their own identity. To this end, we analyze the psychological meaning contained in the multi-persona expressed in the works of Marcel Duchamp, Faith Ringgold, and Cindy Sherm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persona in the work became an interfac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as an external personality for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as a ‘social identity’. Second, the multi-persona expressed social and psychological resistance by rejecting traditional gender role identities or showing ‘multiple gender identities’ such as genderless. Third, the multi-persona was able to reflect on itself and reestablish its self by hiding its main character in its secondary-character as a ‘de-centered self.’ When we synthesize these research results, the multi-personas expressed in contemporary art serve as ‘alternative egos’ that realize the dreams of artists that could not be achieved in reality, and help us living in modern times to explore our own ident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작가의 부캐, 멀티 페르소나의 심리적 의미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인(Young In Chung). (2025).현대미술에 표현된 작가의 부캐, ‘멀티 페르소나(Multi-Persona)’의 심리적 의미. 미술교육논총, 39 (1), 411-438

MLA

정영인(Young In Chung). "현대미술에 표현된 작가의 부캐, ‘멀티 페르소나(Multi-Persona)’의 심리적 의미." 미술교육논총, 39.1(2025): 411-4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