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디지털 시대 공간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 the Space of the Post-Digital Era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희(Mi Hee Lee) 전수현(Soo Hyeon Jeon) 박수정(Su Jeong Park) 공완욱(Wan Wook Kong) 송명길(Myung Kil Song) 이하림(Ha Rim L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1號, 155~18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에서의 공간 개념은 디지털 시대의 공간에서 포스트 디지털 시대로 전환되며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다룬 공간 개념의 변화를알아보고, 포스트 디지털 시대 공간의 확장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탐구하였다. 미술에서의 공간을 크게 디지털 이전의 공간, 디지털 시대의 공간, 포스트 디지털시대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포스트 디지털 시대 미술에서의 공간은 혼종적이며 해체, 변형, 공유와 접근이 쉽다는 특징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미술교육에서의 공간은 물리적 공간-가상공간, 외적-내적 공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며탈경계적으로 넘나들며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이에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매체를 활용하는 테크닉에만 한정된 디지털 리터러시를 넘어서는탈경계의 시선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포스트 디지털 리터러시의 관점이필요함을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concept of space in art transitions from the digital era to the post-digital era, it enters a new phase.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space addressed in art education and explores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space in the post-digital era. By categorizing space in art into three phases—pre-digital space, digital space, and post-digital space—this study identifies that space in post-digital art is characterized by hybridity, deconstruction, transformation, accessibility, and ease of sharing. Furthermore, in post-digital art education, the boundaries between physical and virtual spaces, as well as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become increasingly ambiguous, allowing for a seamless, transboundary experience. Consequently, this study argues that post-digital art education should go beyond mere technical proficiency in digital literacy and adopt a post-digital literacy perspective that considers how media can be meaningfully utilized from a transboundary viewpoint.
목차
Ⅰ. 서론
Ⅱ. 미술에서의 공간 개념
Ⅲ. 미술교육에서 공간의 확장
Ⅳ. 공간의 확장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 아동이 미술 수업에서 경험하는 즐거움의 의미
- 포스트 디지털 시대 공간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인공지능과 지역사회가 만나는 미술교육 - 고등학교 프로젝트 기반 학습 사례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기반 다양한 학습자를 고려한 평가 방안 탐색 - 취약 역량 함양을 위한 성취기준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사진을 통한 청소년 관람객의 미술관 작품 감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전국미술교과모임의 창립 배경과 문제 인식
- 바이오디지털아트(Bio-digital Art)의 융합적 특성과 미술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자아 정체성 탐색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 학습자들의 삶과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미술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형성 및 변화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XR 기반 예비 미술교사 교육의 활용 탐색 - 수업 시뮬레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현대미술에 표현된 작가의 부캐, ‘멀티 페르소나(Multi-Persona)’의 심리적 의미
- 즐거운 생활과 미국 1~2학년 미술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 미술 중심 융합교육에서 개념 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적용 및 제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