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XR 기반 예비 미술교사 교육의 활용 탐색 - 수업 시뮬레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Use of XR-Based Preservice Art Teacher Education : Focusing on Teaching Simulation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양주(Yang Joo Kim)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1號, 320~349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XR(eXtended Reality) 기술이 교육 분야에서 학습 환경을 혁신하는 중요한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 미술교사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XR 기술이교수법 습득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XR 환경에서의 감각 동기화(Sensory Synchronization), 사회적 프레즌스(Social Presence), 환경 적응성(Adaptive Environment)이라는 세 가지 핵심 원리를 중심으로 XR 기반교수-학습의 원리를 고찰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환영(place illusion)과신체 소유 환영(body ownership illusion) 개념을 적용하여, XR 환경에서 학습자가가상 공간을 실제처럼 경험하고 실제적 상호작용을 통해 교수법을 습득하는 과정을분석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TeachLivE, simSchool를 XR 기반 교수법 실습 프로그램을 사례로 선정하여, XR 환경이 예비 교사의 몰입과 교수 역량 향상에 미치는영향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 미술교사 교육에 적용할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XR 환경은 예비 교사가 신체적 상호작용을 통해 교수법을 체화할 수있도록 돕고, 가상 학생과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교수 전략을 실험할 기회를제공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AI 기반 피드백 시스템과 몰입형 기술의 조합이 교수법 습득과정에서 몰입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XR 기술이 예비 미술교사 교육에서 단순한 학습 보조 도구를 넘어, 교수법 개발과 학습경험을 재구성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Recent advancements in Extended Reality(XR) technology have emerged as a key factor in transforming learning environments in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XR in pre-service art teacher education and analyzes its impact on the acquisition of teaching strategies.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s the principles of Sensory Synchronization, Social Presence, and Adaptive Environment as fundamental components of XR-based teaching and learning. Additionally, the concepts of Place Illusion and Body Ownership Illusion are applied to investigate how XR environments allow pre-service teachers to experience virtual spaces as real and engage in authentic interaction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ies.
TeachLivE and SimSchool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case studies to assess the impact of XR-based simulations on pre-service teachers’ immersion and instructional compet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 applicability of XR in pre-service art teacher education.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XR technology is not merely a supplementary learning tool but serves as a crucial medium that restructures teaching strategy development and learning experiences in pre-service art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 전환과 교육 현장의 변화
Ⅲ. XR 환경에서 환영의 극대화를 위한 원리
Ⅳ. XR 기반 예비 교사 교육의 사례
Ⅴ. XR 기반 미술교육 교수 학습 적용 가능성과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 아동이 미술 수업에서 경험하는 즐거움의 의미
- 포스트 디지털 시대 공간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인공지능과 지역사회가 만나는 미술교육 - 고등학교 프로젝트 기반 학습 사례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기반 다양한 학습자를 고려한 평가 방안 탐색 - 취약 역량 함양을 위한 성취기준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사진을 통한 청소년 관람객의 미술관 작품 감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전국미술교과모임의 창립 배경과 문제 인식
- 바이오디지털아트(Bio-digital Art)의 융합적 특성과 미술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자아 정체성 탐색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 학습자들의 삶과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미술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형성 및 변화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XR 기반 예비 미술교사 교육의 활용 탐색 - 수업 시뮬레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현대미술에 표현된 작가의 부캐, ‘멀티 페르소나(Multi-Persona)’의 심리적 의미
- 즐거운 생활과 미국 1~2학년 미술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 미술 중심 융합교육에서 개념 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적용 및 제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