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아 정체성 탐색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 학습자들의 삶과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Program for Self-Identity Exploration : Focusing on Learners’Lives and Narrativ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세연(Se Yeon Park) 김윤영(Yoon Yeong Kim) 이지윤(Ji Yoon Lee) 이재예(Jae Ye L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1號, 239~26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 속 삶의 주체로서 ‘나’를 탐색해 가는 자아정체성 교육에 주목하였다. 정체성은 관계적이고 유동적이며, 지역사회와의 연결속에서 형성된다. 이에 본 연구는 브루너(Jerome Bruner)의 내러티브적 사고(narrative thought)를 기반으로 한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을개발하고 실행하였으며, 학습자들이 지역과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내러티브화 하는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선행 연구를 통해 미술 교과에서 지역사회를주체로 한 내러티브 정체성 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밝혔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을개발 및 실행하였다. 둘째, 미술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지역 속에서 자신을 이해하고주변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내면과 외적경험의 확장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셋째, 일상을 상징화·시각화하는 수업 및 연구 과정을통해 미술과 삶의 통합적 접근 방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자아 정체성형성에 있어 학습자의 경험이 중심이 되는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역사회미술교육의 기반을 확장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self-identity education, which is exploring ‘I’ as the subject of lif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dentity is relational, fluid, and formed through community connections. Based on Bruner's theory of identity based on narrative thought, a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nalyzing how learners visually narrat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reg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rough prior research, the reason for the need for narrative identity edu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s the subject in art subjects was revealed,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based on this. Second, through art education, the process of learners understanding themselves in their local community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ir surroundings was explored in depth, and based on thi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experiences was examined. Third, a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art and life was presented through classes and research processes that symbolize and visualize daily life.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centered on learners' experiences in forming self-identity and suggests a direction to expand the foundation for art education in the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 아동이 미술 수업에서 경험하는 즐거움의 의미
- 포스트 디지털 시대 공간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인공지능과 지역사회가 만나는 미술교육 - 고등학교 프로젝트 기반 학습 사례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기반 다양한 학습자를 고려한 평가 방안 탐색 - 취약 역량 함양을 위한 성취기준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사진을 통한 청소년 관람객의 미술관 작품 감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전국미술교과모임의 창립 배경과 문제 인식
- 바이오디지털아트(Bio-digital Art)의 융합적 특성과 미술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자아 정체성 탐색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 학습자들의 삶과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미술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형성 및 변화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XR 기반 예비 미술교사 교육의 활용 탐색 - 수업 시뮬레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현대미술에 표현된 작가의 부캐, ‘멀티 페르소나(Multi-Persona)’의 심리적 의미
- 즐거운 생활과 미국 1~2학년 미술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 미술 중심 융합교육에서 개념 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적용 및 제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