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예술가의 성격특성이 창작환경위험요인을 매개로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6

영문명
The Effect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Visual Artis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Risk Factors of the Creative Environ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서희선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9호, 701~7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시각예술가의 성격특성이 창작환경위험요인을 매개로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SNS상 ‘서양화가, 미술작가, 개인전, 화가, 한국화가’로 검색된 계정으로, 본 연구의 취지를 안내한 문자를 발송 후 최소 3년 이상 개인전 1회 이상 활동한 시각예술가 75명의 자발적인 참여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에 회귀분석 모형에서 독립변수인 성격특성, 매개변수인 창작환경위험요인, 종속변수인 심리적 웰빙을 선정하였다. 결과 시각예술가의 일반적인 특성은 심리적 웰빙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성실성이 심리적 웰빙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작환경위험요인의 하위요인인 역할모호성이 낮을수록 심리적 웰빙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하위요인들은 심리적 웰빙 수준을 설명하기에 영향력이 다소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역할모호성은 외향성과 함께 심리적 웰빙에 완전 매개효과를, 성실성과 함께 심리적 웰빙에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 검증 결과 상 그 효과가 유의하였다. 결론 시각예술가들은 높은 외향성과 성실성을 바탕으로, 창작환경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자아수용과 자율성, 삶의 목적을 통한 심리적 웰빙을 달성하여 사회구성원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작 업무 특성상 역할 지침이 모호하고 책임 범위가 명료하지 않아 심리적 웰빙을 저해할 수 있음이 시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visual artists' personality trai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creative environment risk factors was analyzed. Methods To this end, 75 visual artists who have been active at least one solo exhibition for at least three years after sending a text message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 account searched for ‘Western painter, artist, solo exhibition, painter, Korean painter’ on S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tion. Therefore, in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creative environment risk factors as paramet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visual artists were not significant in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among the personality traits, extro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role ambiguity, a sub-factor of creative environment risk factors, the higher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other sub-factors were found to have little influence in explaining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particular, role ambiguity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long with extraversion, and a partial mediating rol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long with conscientiousness, and the Sobel test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high extro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it was found that visual artists function as members of society by achiev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acceptance, autonomy, and life purpose despite the risk factors in the creative environment.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creative work, it is suggested that role guidelines are ambiguous and the scope of responsibility is not clear, which can hinder psychological well-be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희선. (2023).시각예술가의 성격특성이 창작환경위험요인을 매개로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9), 701-718

MLA

서희선. "시각예술가의 성격특성이 창작환경위험요인을 매개로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9(2023): 701-7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