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태⋅환경교육강사들 ‘생태교육’과 ‘환경교육’에 대한 관계인식 유형

이용수 158

영문명
Exploring the Types of Relationship Perceptions between ‘Ecologic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of Ecology-Environment Education Instructors: Focusing on Language Game and Life Form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백수복 황효정 이준기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9호, 571~58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비트겐슈타인의 언어놀이 개념을 바탕으로, 생태⋅환경교육 강사들이 생태교육과 환경교육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인에 따라 관계 인식 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하였다. 방법 전국의 생태⋅환경교육 강사 5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벤 다이어그램으로 제시된 생태교육과 환경교육의 관계 유형 중 본인의 생각과 일치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서술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온라인 설문 플랫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복적 비교분석 및 교차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생태교육=환경교육’ 유형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생태교육⊃환경교육’, ‘생태교육⊂환경교육’, ‘생태교육∩환경교육’ 유형이 나타났다. 같은 유형의 응답이라도 선택 이유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생태교육과 환경교육 사이에 가치관이나 내용지식 등에서 공통영역이 있다는 언어놀이상 규칙을 암묵적으로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개인의 경험과 배경에 따라 일상언어적으로 다양한 인식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 경력, 연령대, 최종학력에 따른 관계 유형 인식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생태⋅환경 교육의 실질적 운영 주체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인식유형을 언어놀이 개념으로 탐구하여 생태교육과 환경교육간 가족유사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지속적인 다양성 확보와 외연 확장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ecology-environment education instructors perceiv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logic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Wittgenstein's concept of the language game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relationship perception type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Methods 57 ecology-environment educatio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questionnaire was organized to select a Van diagram that matches one's thoughts among the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ecologic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xplain why. Results As for the types of perception, “ecological=environmental”, “ecological⊃environmental”, “ecological⊂environmental”, and “ecological∩environmental” appeared in the order of frequency. However, even with the same type of response, there were various reasons for choosing.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while recognizing a common area in values and content knowledge between ecologic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t has various perceptions in everyday language according to individual experiences and background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of relationship types according to gender, career period, age group, and final academic level.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family resemblance between ecologic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by exploring various types recognized by ecology-environment education instructors as language game concepts. In addition, it suggested the need to continuously pursue diversity and expan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수복,황효정,이준기. (2023).생태⋅환경교육강사들 ‘생태교육’과 ‘환경교육’에 대한 관계인식 유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9), 571-585

MLA

백수복,황효정,이준기. "생태⋅환경교육강사들 ‘생태교육’과 ‘환경교육’에 대한 관계인식 유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9(2023): 571-5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