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의사소통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이용수 322

영문명
Valid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mpathetic Communication Program using Play: Focusing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Perceived by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윤경 박경애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9호, 153~17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이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해 봄으로써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관계기술의 발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COVID-19의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교육기관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초등학교 입학 후 자녀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서울시 N구 소재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총 3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5명이었다. 실험대상 유아에게는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을 9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누리 교육과정의 자유선택 놀이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이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 관계기술에 유의한 효과를 주었다. 이는 유아의 공감적의사소통 능력이 높아질수록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 관계기술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가 사회적 환경에서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정확히 인식하여 적절하게 조절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유아가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였을 때 공감적으로 의사소통하는 정저적 교류가 정서성에 효과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래 관계기술이 발달 된 유아는 효과적인 공감적 의사소통을 발휘하여 상호협력적 놀이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COVID-19 시기 임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발달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유아들에게 친 사회적 기술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에서 유의미한 연구였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의 가치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an empathic communication program using play affect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as perceived by teachers, thereb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ment program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30 children who are five years old, 15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the subjects were attending a kindergarten in N-gu, Seoul, and their parents expressed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in a situation where they could not use educational institutions due to social distancing measures due to COVID-19. For the young children subjected to the experiment, the empathic communication program using play was implemented 9 times; for the young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free choice play in the NURI Curriculum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SPSS 21.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empathic communication program using pla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perceived by teachers.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empathic communic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higher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young children have the ability to accurately recognize their own emotions through empathetic communication using play in a social environmen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control and utilize them appropriately. Also, it can be identified that emotional exchange, which refers to children empathetically communicating when they express negative emotions, is effective in emotionality, and children with developed peer relationship skills demonstrate effective empathetic communication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which indicates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mutually-cooperative play.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research in that, despite the period of COVID-19, the study showed that pro-social skills are helpful to preschoolers about to enter elementary school based on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value of empathetic communication programs using p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경,박경애. (2023).놀이를 활용한 공감적의사소통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9), 153-170

MLA

이윤경,박경애.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의사소통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9(2023): 153-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