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6대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이용수 182

영문명
Classification of 6 Core Competence Potential Class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경하 김재철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9호, 831~84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역량, 공동체 역량, 의사소통 역량에 따라 잠재계층을 분류하여 잠재계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자료는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원 주관으로 설문을 통해 수집한 부산교육 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의 설문 중 제4차 년도와 5차 년도에 해당하는 2019 ~ 2020년의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에 해당하는 표집 자료를 사용하였고 1차 년도 설문에는 남학생 1,603명, 여학생 1415명으로 총 3,04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잠재계층 분류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계층별 영향 요인 분석을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잠재 계층 사례 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5개의 계층 분류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성별은 계층 분류에 대부분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전반적 고역량집단’, ‘공동체 역량 불균형집단’보다 ‘중하위 역량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학습활동 시간이 높을수록 ‘전반적 저역량집단’보다 ‘중상위 역량집단’, ‘전반적 고역량집단’, ‘공동체 역량 불균형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부모⋅자녀관계가 좋을수록 ‘공동체 역량 불균형집단’보다 ‘중하위 역량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고, 교사 관계가 좋을수록 ‘전반적 저역량집단’보다 ‘전반적 고역량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교우 관계가 좋을수록 ‘중상위 역량집단’ 보다는 ‘전반적 고역량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핵심역량 발달을 수준에 따라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주는 변수(학습활동 시간, 부모, 교사, 교우관계)의 적절한 한 개입이 필요하다. 자녀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상실한 결손 가정을 돕기 위해 사회와 기관이 적극적 지원환경을 구축하고 학생이 학습활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학교에서 다양한 활동(학생자치, 방과후 활동 등) 지원해야 한다. 지나칠 정도로 교우관계에 집착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역량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건강한 교우관계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otential class by classifying the potential class according to high school students' self-management ability,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esthetic ability, community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Methods Research data were high school samples from 2020 to 2021, corresponding to the 4th and 5th years, among the surveys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supervised by the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 of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 total of 3,046 people (1,603 male students and 1,415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latent clas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class. Results First,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number of latent class cases, the 5 class classification model was judg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odel. Second, gend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 classification in most cases, but it was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middle and lower competency group’ than the ‘overall high competency group’ and ‘community competency imbalanced group’. Third, the higher the learning activity tim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higher middle competency group’, ‘overall high competency group’, and ‘unbalanced community competency group’ than the ‘overall low competency group’. Th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lower-middle competency group’ was higher than the ‘community imbalanced competency group’. The better the teacher relationship,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overall high competency group’ than the ‘overall low competency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overall high competency group’ rather than the upper middle competency group. Conclusions intervention of variables (learning activity time, parents, teachers, peer relationship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re competency development is required. In order to help broken families who have lost the ability to support and protect their children, society and institutions must establish an active support environment and support various activities (student autonomy, after-school activities, etc.) at school to help students secure time for learning activities. do. Considering that students who tend to be excessively obsessed with peer relationships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ir competency development, it suggests that proper education on healthy peer relationships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하,김재철. (2023).고등학생의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6대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9), 831-847

MLA

박경하,김재철. "고등학생의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6대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9(2023): 831-8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