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6~7세기 고구려 天下觀의 변천

이용수 170

영문명
The changes of Goguryeo s world view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방용철(Bang, Yong-Chul)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민족문화논총 제79집, 49~7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廣開土王陵碑」의 첫머리는 시조인 鄒牟王의 탄생과 고구려 국가의 창업으로 시작하고 있다. 북부여에서 출자한 추모왕은 天帝와 河伯女郞 사이의 아들로 알을 깨고 태어났으며, 날 때부터 성스러웠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集安 高句麗碑」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므로 고구려의 공식적인 인식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성한 왕실의 계승자인 광개토왕은 天道에 따라 힘과 권위가 미치는 현실적 범위로서 고구려의 천하를 완성하게 되었음을 선언하였다. 고구려의 천하에서 南方 즉 백제와 신라는 각별한 의미를 함축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寐錦이 직접 朝貢하고, 경내에 고구려 군사가 주둔하였던 신라의 경우 가장 바람직한 屬民支配의 전범으로 중요시되었을 것이다. 다만 고구려는 6세기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국내외 정세의 혼란으로 國勢가 위축되었고, 남방에 대한 힘의 우위를 상실하면서 전통적 천하관에도 심각한 위기가 초래하였다. 천하관 운용의 현실적 무대라 할 수 있는 남방 영역이 축소되었고, 국왕의 권위가 추락하는 등 전반적인 국력의 약화 현상이 두드러졌던 것이다. 이에 고구려 집권세력은 단기간의 위기를 극복하고, 국제적 위상과 고유의 천하관을 회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신라 공격이 필요해졌다. 그런데 고구려의 대외 정책에 있어서 대남방 정책은 서북방 세력과의 갈등 관계에 따라 우선 순위가 조정될 수 있는 문제였다. 그런 측면에서 대신라 공세의 배경에는 서북방면으로의 세력 확장과 정세 안정이 전제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고구려는 7세기에 접어들어 서북방면으로 지배영역을 확대하였고, 해당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遼海 諸族屬을 역사・문화적으로 융합하려는 정책을 펼쳤다. 이에 따라 고구려의 지배영역과 속민 인식 등 전통적인 천하관에 도 상당한 변화가 찾아왔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beginning of 「Gwanggaeto Stele(廣開土王陵碑)」 starts with the birth of the founder King Chumo(鄒牟王) and the foundation of Goguryeo. It represents that King Chumo deriving from North Buyeo(北 扶餘) was born as a son between the emperor of heaven and the daughter of Habaek(河伯) by breaking an egg and that he was sacred by birth. As this is shown in 「the stele of Goguryo in Jian (集安 高句麗碑)」, this could be a formal perception of the state of Goguryeo. Accordingly, King Gwanggaeto who was a successor to sacred royal family declared that the world of Goguryeo was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the duty of heaven in a realistic scope that power and authority influenced. The southern power, such as Baekje and Silla, implied a special meaning in constituting the world of Goguryeo. Silla was significantly considered as the most desired example of ruling subject peoples(屬民) which kept Goguryo alive in that Maegeum(寐錦), meaning king of Silla, personally paid a tribute to Goguryo and Goguryo s armies stationed in grounds of Silla. By the way, in Goguryeo s foreign policy, the policy against southern forces was a matter that could adjust its priority according to the conflict relationship with the northwest forces. In that light, it is remarkable that the expansion of power toward the northwest region and stability of the political situation were premised in the background of attack against Silla. Starting the 7th century, Goguryeo expanded its governmental territory into northwest region and implemented the policies for historically and culturally combining all the tribes being active in the Liao-hai(遼海) area.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traditional view of the world, including Goguryeo s ruling territory and perception about subjects(屬民).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구려 천하관의 정립과 屬民支配
Ⅲ. 대남방 宗主權의 상실과 ‘相和守天’
Ⅳ. 세력권 구성 族屬과 ‘屬民’ 인식의 변화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용철(Bang, Yong-Chul). (2021).6~7세기 고구려 天下觀의 변천. 민족문화논총, 79 (1), 49-77

MLA

방용철(Bang, Yong-Chul). "6~7세기 고구려 天下觀의 변천." 민족문화논총, 79.1(2021): 49-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