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야사의 획기와 연구현황

이용수 215

영문명
Groundbreak and research status in Gaya histor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형기(Lee, Hyoung-Gi)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민족문화논총 제79집, 111~14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야는 고대국가로 성장하지 못하고 신라에 멸망당하였다. 잘 알다시피 역사란 승자에 의해 기록되기 마련이어서 가야에 대한 문헌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가야에 대해서 간접적이나마 전하는 자료로는 三國史記와 三國遺事, 중국의 三國志, 後漢書와 南齊書, 일본의 日本書紀 등이 있다. 이와 더불어 廣開土王陵碑文과 昌寧 眞興王拓境碑, 陜川 梅岸里碑 등과 같은 당대의 금석문도 있다. 이들 사료와 금석문 등에 보이는 가야 관련 내용들도 무척이나 소략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기록들을 통해 가야사를 복원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고고학적 성과들에 더해 문헌학자들의 엄청난 노력의 결과 눈부신 연구의 진전이 있었다. 그렇지만 누구나가 인정하듯이 가야사의 성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결론에 도달했다고는 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사서에 가야 전체를 통칭하는 용례도 보이지만, 더불어 멸망하는 시기까지도 가야지역 범위 내에 개별 국가의 국명이 존재하는 모습들이 그대로 나타나는 모습에 대한 해석이 아직은 각각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가야사 이해를 위하여 문헌기록을 통해 가야사의 획기를 설정하고, 거기에 대해 그동안 논의되었던 내용을 살펴보려 하였다. 이를 통해 가야사회의 변화에 대해 다시 한 번 검토하면서 가야사 이해에 새로운 진전을 꾀하기 위함이다. 즉 가야사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들이 도입되면서 새롭게 이해를 넓혀가는 시점에서 기본적인 이해의 틀을 검토하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이 글은 가야사에서의 획기를 설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가야의 형성과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사들을 정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가야사의 획기는 초기 가야사회의 변화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생각하는 ‘포상팔국전쟁’, 가야사회에 큰 변동을 가져 온 이른바 ‘고구려의 남정’이며, 그에 따른 대가야의 변화이다. 가야가 가장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대가야의 대중국교섭’ 등도 결국 남정으로부터의 여파에서 비롯되었 다. 포상팔국전쟁은 가야 내부 지역연맹체 단계로 성장해 나간 소가야연맹체가 교역권을 두고 구야국 세력과 다툼한 것이었다. 포상팔국 전쟁 결과는 구야국이 건재한 가운데, 함안의 안야국이 가야남부 사회의 또 다른 구심점으로 떠올랐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이러한 체제는 고구려의 남정으로 인해 남부 가야사회는 쇠퇴의 길을 걷게되고 대가야가 부각되어 부체제로까지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Gaya failed to grow into an ancient country and was destroyed by Silla. As you know well, history is bound to be recorded by the winner, so there are few documents left about Gaya. Indirectly speaking of Gaya, it remains only fragmented i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 Yusa(三國遺事), Samguk-Ji(三國志) in China, Huhanseo(後漢書) and Namjeseo(南齊書), and Ilbon-Seogi(日本書紀) in Japan, etc. These are materials from later generations, but there are epigraphs of the time such as Gwanggaetowangneungbi(廣開土王陵碑), Jinheungwangcheokgyeong- bi(眞興王拓境碑) in Changnyeong(昌寧), and Maeanribi(梅岸里碑) in Hapcheon(陜川). As with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ancient history, the contents related to Gaya are very simple, making it difficult to restore Gaya history through them. Nevertheless, there has been a lot of progress in research, but no conclusion has been reached on the national nature of Gaya. This is because the historical book shows the use of collectively referring to Gaya as a whole, but even during the fall, the national names of individual countries appear as they exist within the Gaya area. In order to understand Gaya history,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groundbreak of Gaya history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s. This is because they hope to develop in understanding Gaya history while reviewing the changes in Gaya society once again. In other words, I think it is also meaningful to review the basic framework of understanding at a time when the understanding of Gaya history is newly expanded. This article established the groundbreak in Gaya history and summarized the researchers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Gaya. The groundbreak of Gaya history that I think best shows the appearance of early Gaya society is the Posangpalguk(浦上八國) War and Goguryeo(高 句麗) Namgeong(南征, Attack to the South) which are changes in Daegaya accordingly. Daegaya s negotiations with China, which show Gaya s most developed appearance, also eventually originated from the aftermath of Namjeong. The reward-palguk war was a battle between the small Gaya federation, which grew into the stage of Gaya s internal regional federation, with the forces of the Guya over trade rights. The results of the eight-nation war confirmed that Haman s Anya-guk emerged as another centerpiece of southern Gaya society while Guya-guk was in good shape. Since then, it can be seen that due to Goguryeo(高句 麗) Namgeong, the southern Gaya society has been on the decline, and Daegaya has emerged and developed into a sub-system.

목차

Ⅰ. 머리말
Ⅱ. 포상팔국 전쟁과 가야의 성장
Ⅲ. 고구려의 남정과 가야의 변화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기(Lee, Hyoung-Gi). (2021).가야사의 획기와 연구현황. 민족문화논총, 79 (1), 111-146

MLA

이형기(Lee, Hyoung-Gi). "가야사의 획기와 연구현황." 민족문화논총, 79.1(2021): 111-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