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芝山 曺好益의 敎學思想

이용수 41

영문명
Jisan Jo Ho-ik’s Thought of Education and Scholarship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조순(Jo, Soo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민족문화논총 제79집, 793~82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宣祖로부터 ‘關西夫子’라는 어필을 받은 조선 중기의 학자 芝山 曺好益 (1545~1609)은 30대 초반에 억울하게 유배 길에 올라 17년간 평안도 강동에 서 학문연구와 강학 활동에 전력을 다하여 잠곡(潛谷) 김육(金堉)・합강(合江) 박대덕(朴大德)・죽창(竹窓) 이시직(李時稷) 등의 제자들을 양성, 관서지역에 지산학맥을 형성하였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배에서 풀려 의병활동을 전개 하였다. 전란 후 선대의 고향인 영천에서 강학 활동을 펼쳐 오졸자(吾卒子) 박 돈(朴暾)・복재(復齋) 정담(鄭湛)・수암(守庵) 정사진(鄭四震)・대암(臺巖) 이희백 (李喜白) 등 영천지역 문인들을 배출함으로써, 남과 북의 양쪽에서 교학 활동 을 전개하였다.그가 저술한 지산필화는 그의 교학사상을 살펴볼수 있는 주요한 저술로 초학자들이 배우는 율곡의 격몽요결과 변별되는 점은 우선 학습대상에서 지 산필화는 첫째, 초학자부터 일반 성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대상을 피교육자로 하고 있으며 둘째, 구체적이고 세세한 실천해야 할 부분까지 항목별로 다루고 있다. 특히 학문하는 사람이 휴식을 할 수 있는 바둑두기라든가 호연지기를 키우는 선비들의 유산(遊山)이 있는데 비해 격몽요결은 초학자들을 주대상으로 하는 피교육용으로 개설적이고 포괄적으로 설명되어 있다.지산의지산필화는 현대적 관점에서 봐도 아주 구체적인 내용이 많다. 예 를 들어 사람 관계에서 나타나는 언어에 대한 삼가함과 술과 여자에 대한 경 계, 분노조절에 대한 언급은 율곡의격몽요결에 비하여 아주 상세하게 서술 되어 있으며, 무엇보다 교학적인 면에서 전인교육의 바탕인 인성교육에 자식 과 같은 방법으로 교육하고 있는 특징이다.지산필화에서는 술이나 여자, 분노조절, 적선, 농사에 힘씀 등 지극히 필 요조건인 인간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대인관계에서 언어애물, 언어휵 덕, 등 인간 생활에서 말로써 빚어지는 모든 것을 경계하고 있다.특히 「隱惡」章에서 은악은 隱惡而揚善의 줄임말로 남의 착하지 못한 점을 어찌 감히 말하겠는가. 맹자도 이미 남의 단점을 말하면 후환이 있게 된다고 훈계하였으니 오호라, 더러운 것도 받아들이고 미운 것도 포용해야 강이나 바 다처럼 커질 수 있고, 惡은 숨겨주고 善을 드러내야 성현처럼 위대해질 수 있 다고 하여 성현의 도를 나아가기 위한 가장 핵심적이고 주요한 부분이라고 생 각되며, 지산이 나아가고자 했던 道의 완성점이라 생각된다.지산의 교육은 문인 김육의 말처럼 ‘정성스럽고 간절한 마음으로 가르치면 서 후진들을 부지런히 훈계해 주셨다’. 대개 선생께서 귀양살이를 한 것은 선 생께 있어서는 불행하였으나 제군들의 입장에서는 다행이겠다.은혜는 父子간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없고 義는 君臣간보다 더 큰 것이 없다. 그런데 은혜가 중요하다는 것과 의가 크다는 것을 지산 선생을 통하여 알게 되었으니라고 하여 父子와 같은 스승임을 피력 하였다.지산 교학의 특성은 예학의 실행을 통하여 도학을 실천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이것은 앞에서 창석(蒼石) 이준(李埈)이 지은 조호익의 상향문(常享文)에 함 축되어있는, 표리무간(表裏無間)과 이험여일(夷險如一)이 바로 지산의 교육과 인생의 최종 도착지이다.

영문 초록

Jisan Jo Ho-ik (1545~1609), a scholar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who was rendered with the royal calligraphy of ‘a sage of Gwanseo’ from King Seonjo, was exiled in his early 30s to spend 17 years in Gangdong, Pyeongan-do, in the time period he fully devoted himself for academic endeavors and lecturing activities to nurture his pupils, such as, Jamgok Kim Yuk・Hapgang Park Dae-deok, Jukchang Lee Si-jik and others, and established Jisan academic faction in the Gwanseo region, and upon the breakout of the Imjin Japanese Invasion, he was released from the exile to engage in the activities of an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fter the war, he engaged in lecturing activities in Youngcheon, where the hometown of his ancestors for educating Ojolja Park Don, Bokjae Jeong Dam, Suam Jeong Sa-jin, Daeam Lee Hee-baek and other scholars in the Youngcheon area as his deployment in the education and scholarship activities in both sides of the south and north. Jisan Pilhwa,芝山筆話 that he authored is an important publication that could display his thought of education and scholarship, and the point that may differentiated from Yulgok’s Gyeokmongyogyeol that the beginnes learn would be that Jisan Pilhwa in its learning subject is, first, all classes from beginal scholar to a general adult would be the objects of education, second, it handles the part to practice in detailed and refined part for each category. In particular, while a man of scholarship has the game of go that offers a time of resting or recreation site for scholars to boosting the great morale, Gyeokmongyogyeol, 擊蒙 要訣 is described as in straight-forward and comprehensive terms of being educated for the beginals as the main subjects. Jisan Pilhwa of Jisan contains detailed contents even under the contemporary point of views. For example, with respect to refraining on abusive use of language appearing in human relationship, watchful eyes on alcohol and woman, and mentioning on anger control, it would have extremely detailed description comparing to Gyeokmongyogyeol of Yulgok, and more than anything else, in the aspect of education and sJolarship, it retain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or teaching morality for a complete person just the way of educating one’s own child. In Jisan Pilhwa, it contains the contents extremely necessary for human lives, such as, alcohol, woman, anger control, straight line, and working hard on farming and so forth and it places due care on all things coming from language in human life, such as, language problems, language nuisance or the like in human relationships. In particular, in the 「Kindness and Evil」 Chapter, Eunak (kindness and evil) is an abbreviated term for Eunakiyangseon(隱惡揚善) that says, ‘how dare we talk about the others for being not good. Mencius taught us already that there will be revenge if we speak of shortcomings of others, that, by accept dirty things and embrace the hateful things to be great like river or sea, and by concealing evil and displaying good to be great like the wisemen’ that it would be the greatest point and important point to walk toward the way for wiseman, and it would be the point of completion for the way that jisan was aspired to be. Education of Jisan is like the words of a disciple, Kim Yuk, had taught ‘teach with dedicated and devoted mindset while diligently teaching the disciples who in the later generation’. In general, the teacher was in exile for his misfortune, but it was a blessing for all others. Grace is no more important one than in the father-and-son and no greater thing than in the ruler and ruled. Then, the grace being important and the righteousness s being significant were learned through Teacher Jisan that he was indeed a teacher who taught with father-and-son attributes. Characteristics of the Jisan education and sJolarship was concluded to practice the moral philosophy through practicing the learning of etiquette (禮學).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家系와 學問연원
Ⅲ. 芝山學派의 형성
Ⅳ. 『芝山筆話』에 나타난 敎學思想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순(Jo, Soon). (2021).芝山 曺好益의 敎學思想. 민족문화논총, 79 (1), 793-823

MLA

조순(Jo, Soon). "芝山 曺好益의 敎學思想." 민족문화논총, 79.1(2021): 793-8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