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돌봄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이용수 3227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Elderly Care Service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오봉욱(Oh, Bong-Yook)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5권 제1호, 17~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돌봄 사업의 변화, 노인돌봄 사업의 유형과 서비스 대상, 서비스 내용을 이해하고, 노인돌봄 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2020년 1월부터 시행되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과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 케어) 선도사업에 대한 비교하면서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노인돌봄사업 안내서와 문헌고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가복지와 유사한 노인 돌봄서비스가 유형별로 다양하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서 사업수행 기관과 사업 대상자에게 혼란을 주었기에 노인돌봄서비스의 통합 운영은 매우 적절하다. 둘째, ‘노인돌봄서비스’ 와 ‘커뮤니티 케어’라 불리는 두 사업의 전달체계를 명확히 해야 하고, 노인돌봄의 특성을 위해 의료와 복지가 통합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인력의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서비스 제공인력의 전문성 향상과 처우 개선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2020년부터 시행되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보다 나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nderstands the changes in th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types and services of th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contents of the service, and identifies the problems of th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direction to go forward by comparing the elderly personalized care service project and the leading community integrated care (community care) project that will take effect from January 2020.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guidebook for elderly care and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ince the elderly care service similar to home welfare is provided in various ways by type, it is very appropriate to operate the integrat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because it has confused the organization and the target audience. Second, the delivery system of two projects called “elderly care service” and “community care” should be clarified, and the service provider must be composed so that medical care and welfare can be integrated and opera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care for the elderly. Thir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and treatment of service providers. Fourth, better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on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s and community integrated care services that will be implemented from 2020.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노인돌봄서비스의 이해와 실천
Ⅲ. 노인돌봄서비스의 문제점
Ⅳ. 실효성 있는 노인돌봄서비스의 개선방안의 모색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초등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운동몰입의 관계에서 스포츠자신감의 조절효과
-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 협응력과 정서·행동 문제의 연관성
- 언어학과 현상학의 관점에서 본 ‘피지컬 리터러시’ 어휘 구조의 배경과 의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