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전기 경상우병영의 설치와 이설

이용수 156

영문명
Installation and relocation of Gyeongsang-woo barrack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감병훈(Gam Byung-Hoo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민족문화논총 제79집, 175~21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조선전기 경상도 창원에 설치되었던 경상우병영의 설치와 이설 과정을 살펴보고 200여 년간 병영이 존속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펴본 것이다. 1393년(태조 2)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각 도에 도절제사가 파견되었고 경상도 도절제사영이 지방군을 통솔했다. 1397년(태조 6) 2월에는 도절제사의 권한과 감독을 법제화하여 온전히 지방군을 주관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동년 5월 에 군사요충지에 진이 설치되면서 병영이 폐지되었다. 태종대에 도절제사와 병영이 다시 복구되어 첨절제사의 진을 통솔하는 상위기관이 되었다. 1408년(태종 ) 7월에는 경상도를 두 개의 군사도인 경상좌도와 경상우도로 분리시켜 두 명의 도절제사를 파견했고 이는 경상우병영의 시초가 되었다. 1412년(태종 12) 경상좌・우도를 다시 합치면서 경상좌병영의 군마가 우병영에 소속되었다가 1413년(태종 13) 다시 좌병영이 복설되었다. 1426년(세종 8) 11월에는 경상좌병영이 다시 철폐되고 우병영으로 합쳐졌다가, 1436년(세종 18) 12월에 복구되었다. 한편 좌병영과는 달리 우병영이 창원에 계속해서 존속할 수 있었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원은 고려 말 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인식되어 병영성이 축조되어 있었다. 둘째, 경상도의 지방군은 육군과 수군으로 구별되는데 수군의 수가 훨씬 많았고 창원은 경상우도의 수군 진영과 가까워 연합이 용이했다. 1592년(선조 25) 4월에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당시 경상우병사 조대곤은 창원과 병영성의 방어를 포기하고 칠원으로 후퇴했다. 이 영향으로 4월 23일에 창원과 병영성이 일본군의 수중으로 떨어지고 병영 내 시설이 방화되었다. 9월 9일 창원을 다시 수복하였으나 곧 일본군의 반격을 받아 다시 병영성이 함락되고 말았다. 이후 경상우병영군은 진주성으로 접근해 왔던 일본군과 조우 하면서 전투를 벌였고 병력의 열세를 극복하지 못한 채 전멸당하고 말았다. 이때의 패배로 관군 중심의 경상우병영군이 완전히 해체되었고, 이후에는 의병이 중심이 된 우병영군으로 재편되면서 그 성격이 변화되었다. 경상우병영은 전쟁기간 동안 우병사가 주둔하는 곳이 곧 병영의 소재지가 되었던 만큼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면서 정착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603년(선조 35) 5월 경상우병영이 진주로 완전히 이설되었다. 진주로 이전된 배경 은 두 가지였는데 첫째, 창원에 우병영을 수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 둘째, 한 도의 주장인 병사가 적의 공격을 바로 받을 위치에서는 하루라도 지낼 수 없다는 점이었다. 결국 경상우병영이 진주로 완전히 이설하게 된 군사적 배경은 국지전에 중점이 두어졌던 체제를 지양하고 임진왜란과 같은 전면전을 대비하기 위해 방어체제를 변화시킨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ntal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Gyeongsang-woo barracks, which were installed in Changwon, Gyeongsang-d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background of the barracks existence for more than 200 years. In 1393 (the 2nd year of King Taejo s reign), a Dojeoljesa was dispatched to each province to defend against Japanese pirates, and Gyeongsang-do Jejeoljesayeong led the local army. In February 1397 (the 6th year of King Taejo s reign), the authority and supervision of the Dojeolsa were legislated so that local forces could be fully managed. However, in May of the same year, the barracks were abolished when a camp was installed in a military hub. In Taejongdae, Dojeoljesa and Byeongyeong were restored again and became a high-ranking institution leading the camp of Cheomjeoljesa. In July 1408 (Taejong), Gyeongsang-do was separated into two military provinces, Gyeongsangjwa-do and Gyeongsang-woo, and two Dojeoljeonsa were dispatched, which was the beginning of Gyeongsang-woo barracks. In 1412 (the 12th year of King Taejong s reign), when Gyeongsangjwa and Udo were merged, the Gunma of Gyeongsangjwa barracks belonged to Woo barracks, and in 1413 (the 13th year of King Taejong s reign), Jwa barracks were restored. In November 1426 (the 8th year of King Sejong s reign), the Gyeongsang Left Army was abolished and merged into the Right Army, and in December 1436 (the 18th year of King Sejong s reign), it was restored.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left barracks, the background in which the right barracks continued to survive in Changwon is as follows. First, Changwon has been recognized as a military hub since the end of Goryeo, and barracks were built. Second, local forces in Gyeongsang-do are divided into Army and Navy, with a much larger number of naval forces, and Changwon was close to the naval camp in Gyeongsang-do, making it easy to unite. Whe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roke out in April 1592 (the 25th year of King Seonjo s reign), Cho Dae-gon, a soldier of Gyeongsang-do, gave up defense of Changwon and barracks and retreated to Chilwon. As a result of this, Changwon and barracks fell under the water of the Japanese military on April 23, and facilities in the barracks were arson. Changwon was restored on September 9th, but soon after it was counterattacked by the Japanese military, the barracks fell again. Since then, Gyeongsang-woo s barracks have fought against the Japanese, which had approached Jinjuseong Fortress, and were wiped out without overcoming the inferiority of the troops. The defeat at this time completely dismantled the Gyeongsang-woo barracks centered on the government forces, and later changed its character as it was reorganized into the right barracks centered on the righteous army. Gyeongsang Woo Byeong-yeong could not settle down while moving around various regions as the place where Woo Byeong-sa was stationed during the war soon became the location of the barracks. Then, in May 1603 (35th year of King Seonjo s reign), Gyeongsang-woo Byeongyeong was completely relocated to Jinju. There were two reasons for the relocation to Jinju: first, it was difficult to contract Woo Byeong-yeong in Changwon, and second, the soldier, who is the captain of Hando, could not stay for a day in a position where he was immediately attacked by the enemy. The military background of Gyeongsang-woo s complete relocation to Jinju was that the system focused on local warfare was avoided and the defense system was changed to prepare for an all-out war such as the Imjin War.

목차

Ⅰ. 머리말
Ⅱ. 태조시기 경상도병영의 置廢과정
Ⅲ. 태종・세종시기 경상우병영의 통합과 분영
Ⅳ. 임진왜란시기 경상우병영성의 소실과 병영의 이설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감병훈(Gam Byung-Hoon). (2021).조선전기 경상우병영의 설치와 이설. 민족문화논총, 79 (1), 175-210

MLA

감병훈(Gam Byung-Hoon). "조선전기 경상우병영의 설치와 이설." 민족문화논총, 79.1(2021): 175-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