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산서원의 강학전통

이용수 115

영문명
The teaching tradition of Shinsanseowo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정석태(Jeong Seok-Tae)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민족문화논총 제79집, 715~758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산서원은 1588년(선조21)에 ‘조식・신계성→정인홍’으로 이어지는 계열의 학문적, 혈연적 기반을 토대로 하고 조식의 중장년 강학지인 김해의 산해정을 모체로 하여 창건되어 조식을 독향하였다. 임진왜란에 소실되었으나 1609년 (광해군1)에 중건되어 그해 산청의 덕천서원 및 삼가[합천]의 용암서원과 함께 사액을 받아 영남 강우지역 남명학파의 주요 거점서원이 되었다. 1616년(광해 군8)에는 신계성을 병향하면서 원생이 70여 명에 이르고 김해만이 아니라 전 국적인 영향력을 가진 큰 서원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1623년(인조1) 인조반 정으로 정인홍이 사사되고 북인정권이 몰락한 뒤 북인계열서원에서 남인계열 서원으로 점차 바뀌었다. 신산서원의 초기 강학정신은 이황의 역동서원과 이 이의 은병정사로 이어지는 고대 향학 제도의 교육목표와 교육이상을 실현해 가려는 흐름을 계승하고 있었다. 1620년대 초반 신산서원 원장이었던 이명호 는 이이의 「은병정사학규」 및 「은병정사약속」의 내용을 적극 채용하는 한편 산림처사로서 실천궁행하는 조식의 도학정신을 반영한 신산서원학규를 정하 였다. 그것이 「신산서원입규」이다. 그러나 그러한 학규를 제정한 당자인 정인 홍과 그 제자들이 북인으로 정치권력의 중심에 섰다가 몰락하게 되면서 신산서원은 그 학규의 취지를 현실에서 제대로 실현해 보지 못한 채 역사의 전면 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신산서원은 1660년대 전후로는 임진왜란 이후 중건을 주도한 김해허씨 허경윤의 후손들만 오로지 주인으로서 서원을 지키는 공원 상태가 되었다가, 1690년대 전후로 광주안씨 안신현이 창녕조씨[남평조씨] 조 구령・조이추와 함께 신산서원에서 조식의 유서를 강론하고 뒤이어 조구령이 1690년(숙종16) 이후로 6, 7년 동안 원장 등으로 서원에 상주하며 강학을 행 한 결과 신산서원은 강학기능이 되살아나게 되었다. 조구령은 이현일의 제자 로서 조식의 유사 및 언행록과 이황의 「성학십도」를 함께 강론하여 신산서원 은 조식의 학문과 이황의 학문이 일정하게 결합된 학풍을 가진 서원으로 변모 하게 되었다. 이 무렵 「신산서원입규」 대신 주자의 「백록동규」와 이황의 「이 산원규」를 서원에 게판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서원은 다시 공원의 상태 가 되었다가 1780년(정조4)부터 산청 출신 유문룡이 1785년(정조9)부터 10년 동안 원장으로 상주하면서 강학을 행한 결과 다시 조식의 학문과 이황의 학문 이 일정하게 결합된 학풍을 가진 서원으로 되살아나게 되었다. 1866년(고종3) 허전이 원장을 맡으면서 남명학파의 체험적이고 실천적인 지향과 퇴계학파의 사변적이고 이론적인 학문이 조화롭게 통합된 서원으로 새롭게 발전할 기회 를 갖게 되었지만 뒤이은 훼철로 강학이 더 이상 어렵게 되고 말았다. 그러나 서원이 훼철된 뒤에도 조식이 사문의 종지를 정인홍에게 전수했다고 일컬어 지는 「격치성정가」[「대학팔조가」]와 그 뒤에 붙인 1수의 칠언절구 시는 한말 까지 여전히 조식의 학문지결로 김해지역 선비들에게 깊이 기억되었다. 또한 신산서원의 정신도 김해지역 선비들에게 깊이 기억되었다. 그 정신은 서원의 훼철로 김해에서는 이어지지 못하였지만 후일 밀양의 자암서당에서 온전하게 실현되었다.

영문 초록

Sinsanseowon was founded in 1588(Seonjo 21) on the basis of the academic and blood ties of the series “Jo Sik, Shin Gye-seong→Jeong In-hong,” and based on Sanhaejeong in Gimhae, a middle-aged scholar’s school, as its mother. It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Imjin, but was rebuilt in 1609(Gwanghaegun 1), and in that year, along with Deokcheonseowon in Sancheong and Yongamseowon in Samga (Hapcheon), it became a major base seowon of the Nammyung School in Gangwoo, Yeongnam. In 1616(Gwanghaegun 8), while heading to Shin Gye-seong, the number of alumni reached about 70, and it developed into a large seowon with influence not only in Gimhae but also throughout the country. However, in 1623(Injo 1), Jeong In-hong died due to Injo rebellion and the Bugin regime collapsed, it was changed from Bugin-affiliated seowon to Namin-affiliated seowon. The early teaching spirit of Shinsan Seowon was inheriting the flow of realiz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ideals of the ancient Hyanghak system that led to Yi Hwang s Yeokdongseowon and Yi Yi s Eunbyeongjeongsa. In the early 1620s, Lee Myung-ho, who was the director of Shinsanseowon, actively adopted the contents of Lee Yi s Eunbyeongjeongsahakkyu and Eunbyeongjeongsa s Promise and set the Shinsanseowonhakgyu reflecting the moral spirit of Jo Sik, who practiced as a forestry practitioner. That is “Shinsanseowonipgyu”. However, as Jeong In-hong, the party who instituted such a school rule, and his disciples stood at the center of political power as Bugin and fell, the Sinsanseowon disappeared from the forefront of history without actually realizing the purpose of the school rule in reality. Around the 1660s, only the descendants of Geumhaeheossi Heo Gyeong-Yun, who took the lead in the reconstruc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ere in a state of emptiness to protect the seowon as owners. Around the 1690s, Gwangjuanssi Ahn Shin-hyeon, along with Changnyeongjossi[Nampyeongjossi] Jo Gu-ryeong and Jo I-chu, lectured on the book of Jo Sik at Shinsanseowon, followed by Jo Gu-ryung as the director for six or seven years after 1690(Sukjong 16). As a result of teaching while residing in the seowon as a teacher, the teaching function of Shinsanseowon was revived. As a disciple of Lee Hyeon-il, Jo Gu-ryeong preached the similarities and words and actions of Jo Si-sik together with Yi Hwang s Seonghaksikdo , and the Shinsanseowon was transformed into a seowon with a scholarly style in which Jo Sik s studies and Yi Hwang s studies were uniformly combined. It is estimated that around this time, the runner s Baengnokdonggyu and Lee Hwang s Isanwongyu were published in the seowon instead of Shinsanseowonipgyu. After that, the seowon was in a state of emptiness again. From 1780Jeongjo 4), Yu Munryong from Sancheong resided as the principal for 10 years from 1785(Jeongjo 9) and gave lectures. It was revived as a vow with a combined academic tradition. In 1866(Gojong 3), Heo Jeon took over as the director and had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o a seowon in which the experiential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the Nammyung School and the speculative and theoretical studies of the Toegye School were harmoniously integrated. The ensuing ruins made lectures difficult any longer. However, even after the seowon was demolished, Gyeokchiseongjeongga ( Daehakpaljoga ), which is said to have passed on the ceremonies of inquisition to Jeong In-hong, and the first seven words and verse poems attached to it in Korean Until now, he was still deeply remembered by scholars of Gimhae region as his academic achievements. Also, the spirit of Shinsan Seowon was deeply remembered by scholars from Gimhae region. That spirit could not be continued in Gimhae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seowon, but it was fully realized later in the Jaam Seodang in Miryang.

목차

Ⅰ. 서론
Ⅱ. 신산서원의 설립과 변화과정
Ⅲ. 신산서원의 초기 강학정신
Ⅳ. 신산서원 강학정신의 변모양상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석태(Jeong Seok-Tae). (2021).신산서원의 강학전통. 민족문화논총, 79 (1), 715-758

MLA

정석태(Jeong Seok-Tae). "신산서원의 강학전통." 민족문화논총, 79.1(2021): 715-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