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제체계와 전통시장의 공간적 성격 변화

이용수 141

영문명
Economic System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A Historical Review of Daegu Seomun Market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정재영(Chung, Jaeyoung)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민족문화논총 제79집, 1149~1193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구 서문시장이 현 위치로 이전한 과정과 그 이후의 역사적 변화를 추적하며 시장의 공간적 성격이 형성, 변화하는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무엇보다 경제체계의 변화과정을 전 산업경제체계, 산업경제체계, 후기 산업경제체계로 구분하여 한국사회와 대구라는 지역사회의 역사와 관련지으면서 국가경제사의 거시적 변화가 야기한 파고 아래 지역의 전통시장의 공간주체인 상인들이 그들의 생활공간으로서 시장공간을 조정해 나가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서문시장은 전 산업경제체계, 산업경제체계, 후기 산업경제체계를 거치면서 형성, 발달, 쇠퇴, 재도약의 과정을 겪고 있다. 조선 후기 농업생산과 상품 경제의 이중적 경제체계가 구조화되면서 성장한 서문시장은 대구를 기점으로 한 향시권의 중심시장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개항 이후 산업경제체계로 이행하며 일제의 식민자본주의 영향 아래 시장의 공간적 성격이 변화하였고, 그 위치도 읍성의 서문 밖에 있던 자리에서 천황당못을 메운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이 과정에는 대구의 역사를 담보한 고고학적 유적과 지역민의 소박한 염원이 담긴 민속학적 유적을 단번에 해체함으로써 식민지 대구를 지역민에게 각인시키는 식민지배의 전략이 투영되었다. 한편, 서문시장은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대구로 모여든 형편이 어려운 이들의 경제적 토대가 되어 주었지만, 국가 주도의 경제성장 정책에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특히, 한국 섬유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던 대구가 쇠락하는 과정은 서문시장의 성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전국 최대 규모의 의류와 원단 도매시장으로서 1980년대까지 동대문시장 상인들도 물품을 구입하러 서문시장으로 올만큼 성황을 누렸지만, 제조업체의 성장과 대량유통기구의 등장으로 인해 상권이 재편되고, 도매기능이 약화되며 시장의 명성이 바래었다. 그러한 가운데 후기 산업경제체계로 이행한 현재의 서문시장은 현대화를 통한 시장공간의 개선과 공간조정 과정에서 다양한 가치가 결합되며 야기된 공간적 성격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2005년도 화재로 전소한 2지구의 7년에 걸친 재건과정은 전통시장의 공간적 성격을 새롭게 조정하는 극적인 계기가 되었다. 서문시장의 관할구청인 중구청과 시장상인들은 재래시장의 이미지를 탈피함으로써 시장의 세대교체를 도모하였고, 기존의 시장이 갖지 못하였던 위생, 안전, 인권과 같은 새로운 가치를 공간 조성 과정에 투영하여 시장공간을 상품화하는 전략을 선택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examination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spatial character of Daegu Seomun Market by tracking the process of the market’s relocation to its current location and historical transition thereafter. First of all, the process of changing the economic system was divided into pre-industrial economic systems, industrial systems, and late industrial economic systems.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by relating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to Daegu local community, this study identified patterns of how to local merchants, who are the spatial entity of the traditional market, have adjusted the market space as their living space under the tension caused by macroscopic changes in national economic history. Seomun Market is undergoing the process of formation, development, decline, and resurgence. Since the dual economic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ommodity econo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structured, Seomun Market, which has grown, is positioned as a central market in local area starting from Daegu. However,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 spatial character of the market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 capitalism. Its location was also moved from outside the west gate of Eupseong Fortress to the current location where filled the Cheonhwangdang Pond in the southwest. In this process, the colonial strategy of imprinting colonial Daegu on local people was projected by dismantling archaeological relics which Daegu’s history guarantees and folk relics containing the simple wishes of local residents at once. Even though Seomun Market became an economic foundation for the unrooted people who gathered in Daegu through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t was absolutely influenced by the state-led economic growth policy. The process of Daegu’s growth as the center of the Korean textile and decline directly affected the rise and fall of the Seomun Market. Eventually, its reputation in the past faded. The current Seomun Market has improved facilities through modernization, and is seeking a new way by adjusting its spatial character by giving various values to space. Especially, the seven-year reconstruction of District 2, which was burned down by fire in 2005, served as a dramatic opportunity to newly adjust the spatial characters of traditional markets. Jung-gu Office and market merchants, the district offices having jurisdiction over Seomun Market, promoted an alternation of generation in the market by breaking the image of traditional markets. Furthermore, they are using a strategy to commercialize the market space by projecting new values such as safety, hygiene, and human rights that the existing market did not have in the space creation process.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제체계의 구분과 시장에의 적용
Ⅲ. 경제체계별 서문시장의 공간적 성격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영(Chung, Jaeyoung). (2021).경제체계와 전통시장의 공간적 성격 변화. 민족문화논총, 79 (1), 1149-1193

MLA

정재영(Chung, Jaeyoung). "경제체계와 전통시장의 공간적 성격 변화." 민족문화논총, 79.1(2021): 1149-1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