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청지역 남명학파의 규모와 동향

이용수 100

영문명
The Scale and Trend of Namyoung School in Sancheong Area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소희(Park, So-hee)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민족문화논총 제79집, 409~44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남 산청은 조선시대 산음현, 단성현[속현 단계], 진주 덕산동 등에 해당된다. 이곳은 남명이 우거했던 곳이자 그를 제향하는 덕천서원이 건립되어 남명학파의 본산지로 인식되어왔다. 본 연구는 산청과 남명학파라는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16~17세기 산청지역 남명학파의 규모와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남명과 종유하거나, 남명의 제자가 된 산청 지역 유림들은 산음의 함양오씨, 단성의 안동권씨・합천이씨 등의 가문에서 총 23인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남명 문인들은 덕산에서 스승과 함께 지리산을 유람하기도 하고 강론을 펼치며 ‘敬義之學’을 배워갔다. 1572년(선조 5) 남명이 세상을 떠나고, 그의 학문과 사상을 전수받은 문인들은 또다시 재전문인을 길러내며 남명학을 계승해갔다. 또 사승관계를 맺지 않더라고 우도의 유림들은 덕천서원이나 남명 문인을 제향한 여러 서원을 출입하며 사숙인으로서 남명의 사상을 이어갔다. 남명학이 가학으로도 전수되면서 시대를 내려올수록 남명학파의 범위는 더욱 확대되어 갔다. 이들은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의병활동을 펼쳤고, 북인집권기에는 단성의 유림이 주도하여 정온을 변호하기 위한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또 인조반정 이후 남명집(임술본) 훼판 사건으로 덕천서원 내 분열이 발생하자 단성・진주 양 읍의 선비들이 모여 그 처벌을 상의하는 등 서원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훼판 사건 이후 덕천서원 내에는 남・서 로의 분열 모습이 보였는데, 이는 산청지역 유림들 사이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다. 일례로 단성의 안동권씨 가문에서 권도의 후손이 남인화하였고 권극유 후손들은 남명집(임술본) 훼판 사건 이후 서인화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region area of Sancheong in Gyeongnam consisted of Saneum-hyeon, Danseong hyeon[sub-hyeon] and Deoksan-dong in Jinju in the Chosun era. Namyoung resided here and Deokcheon Seowon was built for commemorating him and the area has been recognized as the headquarters of Namyoung School.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s the scale and trend of Namyoung School in Sancheong Area during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n the inseparatable relations between Sancheong and Namyoung School. Sancheong started to be developed when Cho Sik moved to Deoksan- ong(The present Sicheon-myeon, Sancheong-gun) and built Sancheon-jae 山天齋) to teach his students, forming Namyoung School in 1561(16th year of King Myongjong). For the people who made friendship with Namyoung or became his friends, total 23 persons including Oh of Hamyang in Saneum, Kwon of Andong and Lee of Habcheon in Danseong. Namyoung’s students traveled Mount Jiri with their teacher from Deoksan and learnt ‘Gyeonguijihak(敬義之學)’ In 1572(5th year of King Seonjo), Namyoung died and his students of studies and ideas taught their own students, succeeding Namyoung School and Confucian scholars in U-do who did not belong to his school visited Deokcheon Seowon and succeeded his idea through their private studies. In addition, as the studies of Namyoung was inherited as that of family(家學), the scope of the school was extended.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Deokcheonwonsaengrok during the eight different period, which is still kept in Deokcheon Seowon. Namyoung School which had been extended, volunteered to fight against the enemy i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ccording to their teacher and when Bookin took their power, the Confucian in Danseong prepared for depending Chung On. And, after the King Injo’s enthronement after dethroning the former king, Namyoung School was broken due to the accident of damaging Namyoungjib(the Imsul version) in Deokcheon Seowon, the head of the Seowon discussed the punishment with the scholars from both Danseong and Jinju.

목차

Ⅰ. 머리말
Ⅱ. 남명학파 형성 이전의 산청
Ⅲ. 산청지역 남명학파의 규모
Ⅳ. 산청지역 남명학파의 동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희(Park, So-hee). (2021).산청지역 남명학파의 규모와 동향. 민족문화논총, 79 (1), 409-447

MLA

박소희(Park, So-hee). "산청지역 남명학파의 규모와 동향." 민족문화논총, 79.1(2021): 409-4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