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28민주운동의 인식변화와 4・19혁명으로의 계승

이용수 235

영문명
The change of perception of the February 28 Democratic Movement and the succession of the April 19 Revolution of the February 28 Movement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일수(KIM, ILSU)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민족문화논총 제79집, 951~99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28민주운동의 발생은 1950년대 후반 선거를 통해 시민들의 반정부 의식이 표면화되고, 대구의 민주적 노동운동과 무관하지 않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지역 고등학생들의 가두시위는 20세기 한국 현대사의 흐름을 바꾼 역사적 전환기의 사건이었다. 2・28민주운동은 정부와 자유당에 의해 빨갱이 사주론과 민주당 배후설로 그 의미가 왜곡되었으나 학생들의 자발적 운동이었음이 밝혀졌다. 또 학생 시위가 3・1절로 확대되지 않길 바라는 사회의 인식이 있었으나 2・28민주운동은 대전, 부산, 서울 등 전국으로 파급되었다. 결국, 2・28민주운동은 3・15민주의거를 거쳐 4・19혁명으로까지 이어졌다. 2・28의 역사적 성격에 대한 학생들과 사회의 인식은 2・28학생의거로 규정되었다. 하지만 2・28 40주년을 맞아 2・28 민주의거로 규정되다가 2・28민주운동으로 인식되고 규정되었다. 2・28민주운동은 4・19혁명 시기에 고등학생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운동・사회운동・정치운동으로 확대되어 한국 교육계와 민주・민족운동으로 계승되었다. 먼저, 학생들은 학교 현장에서 학도호국단 폐지를 통한 자치 학생회로의 전환, 어용 교사 축출과 부패재단 정화 운동, 교원노동조합 지지 등을 통한 학원 민주화운동을 전개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4대 국회 해산을 통한 ‘선개헌 후선거’를 주장하고, 반혁명인사규탄대회를 통한 반민주세력과 부 패 세력 반대운동을 전개하면서 정치개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4・19혁명 시기 한국군 및 미군 사용의 교사를 반환받고자 하는 활동, 한미경제협정을 반대하고 한미행정협동의 체결을 주장하는 자주화 운동을 전개하였다. 넷째, 학생들은 1961년 2월 2・28 1주년 기념대회를 통해 장면 정권의 정치 운영에 대한 반대 인식을 명확히 표명하고, 자주・민주・통일의 학생운동 방침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은 4・19혁명 시기 반공특별법과 데모규제법의 반대를 주장하며 각종 반대 시위를 펼치며 민주운동을 전개하였다. 여섯째, 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민족모순이었던 분단구조를 해결하기 위한 통일운동을 전개하며, 학생 스스로 ‘반공적 인식’을 극복하며, 한반도의 평화 정착에 노력을 기울였다. 2・28은 학생의거에서 민주운동으로 인식이 크게 변화된 것은 확인되었다. 그것은 사회의 2・28에 대한 인식변화와도 연관되는 것이었지만, 중요한 것은 2・28의 주체들이 현실 사회에서 2・28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하는 과정에서 생긴 인식변화였다. 또한 학생들은 1960년 전반기 한국 사회의 격변 속에서 학생운동의 범위와 대상을 교육 현장인 학교를 포함해 한국사회 전반으로 확대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과정에서 학원민주화운동을 통한 교육개혁 운동, 정치개혁을 통한 민주운동, 남북문제의 극복을 위한 통일운동 등 한국 현대사회의 전반적 개혁과 혁신을 이루었다. 이로써 2・28민주운동은 1950년대 한국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 1960년대 민주・민족운동의 서막을 연 전환기적 학생운동이었다.

영문 초록

The outbreak of the February 28 Democratic Movement was not unrelated to the democratic labor movement in Daegu, where citizens anti-government consciousness surfaced through the elections in the late 1950s. On February 28, 1960, the street demonstr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were a historical transition period that changed the flow of Korean modern history in the 20th century. The perception of the February 28 Democratic Movement has changed greatly from students brave deed to democratic movement. The 2.28 Democratic Movement was promoted to nationalize high school students demonstrations immediately after February 28th, and was succeeded to the April 19 Revolution through March 15th. In short, it achieved general reforms and innovations in modern Korean society, such as the education reform movement through the school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democratic movement through political reform, and the unification movement to overcome inter- Korean problems. As a result, the February 28 Democratic Movement was a transitional student movement that overcame the contradictions of Korean society in the 1950s and opened the prelude to the democratic and national movements in the 1960s.

목차

Ⅰ. 머리말
Ⅱ. 2・28에 대한 사회 및 학생층의 인식변화
Ⅲ. 학원민주화운동과 정치개혁 요구
Ⅳ. 2・28민주운동 기념 활동과 자주・통일 운동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수(KIM, ILSU). (2021).2・28민주운동의 인식변화와 4・19혁명으로의 계승. 민족문화논총, 79 (1), 951-990

MLA

김일수(KIM, ILSU). "2・28민주운동의 인식변화와 4・19혁명으로의 계승." 민족문화논총, 79.1(2021): 951-9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