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의사소통 연구

이용수 627

영문명
Digital Communication Research as a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YouTube Channel’s Creator Speech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윤정(Kim Yune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호, 399~4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1.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의사소통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디지털 의사소통 역량에 대한 전문가와 학습자의 인식 차이를 살피고, 대학생이 선호하는 의사소통 역량 우수 크리에이터를 선정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의사소통 역량이 우수한 크리에이터의 화법 양상을 분석하여 디지털 의사소통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방법 디지털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분석을 위해 의사소통 교육 전문가 11명,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한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선정 후 영상을 전사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디지털 의사소통 역량의 개념과 특징, 디지털 의사소통 역량 신장을 위한 대학 교육의 내용,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갖추어야 할 의사소통 역량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크리에이터의 화법을 사회적 영향력 고려한 말하기, 표현력, 의사소통 능력 측면에서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디지털 의사소통 역량 신장을 위한 교육의 범주, 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소셜미디어와 포스트 휴먼적 범주기반 교육으로 물리적, 사회규범적, 학습원리 범주를 제시하였다. 교육 내용으로 사회적 영향력 고려, 콘텐츠 개발 능력, 표현력, 미디어 활용 능력, 의사소통 능력, 매체 관리 능력, 개인 관리 능력, 상황 분석력을 제시하였다. 교육 방법으로 참여형 수업, 매체 분석 수업, 온라인 활용 수업, 전략과 기능 수업, 성찰 수업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for digital communication education as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experts and learners about digital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ors with excellent communication competency preferred by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find an educational plan that can be used in digital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the speech patterns of creators with excellent communication skills.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digital communication, Delphi and a survey were conducted on 11 communication education experts and 100 college students. A mixed research metho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mplementarily was used. After selecting a YouTube creator, the video was transcribed and analyzed. Result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contents of university education to enhance digital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that YouTube creators should have were identifie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reator s speech in terms of speaking,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s in consideration of social influence. Conclusions The categories,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to enhance digit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were presented. The categories of physical, social norms, and learning principles were presented as social media-based posthuman category-based education. As educational content, social influence consideration, content development ability, expression ability, media utilization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media management ability, personal management ability, and situation analysis ability were presented. Participatory classes, media analysis classes, online utilization classes, strategy and function classes, and reflection classes were presented as educational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정(Kim Yune Jung). (2022).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의사소통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 399-422

MLA

김윤정(Kim Yune Jung).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의사소통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2022): 399-4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