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

이용수 1098

영문명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al Support Request fo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동례(Kim, Dong Ry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호, 313~32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1.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인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구성방향에 대한 인식 및 현장적용의 일반적 경향과 관계 및 운영지원 요구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J도와 K시의 보육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를 검사하기 위해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인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ANOVA와 Scheffe 추후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구성방향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이, 현장적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유아들의 놀이 및 놀이시간을 전반적으로 확장시키고 지원한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자율성 강조, 추구하는 인간성의 적절성, 유아들의 놀이 및 놀이시간의 확장. 지원에 대한 인식에서 연수와 평가인증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횟수에 따라 인식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9개정 누리과정의 운영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는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의 축소, 행정업무 경감과 같은 근무환경의 개선에 대한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놀이중심 현장적용 사례집이나 교사 지도서 같은 참고자료 지원, 예비교사 및 양성교육과정의 변화 필요, 초등학교 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 필요에 대한 요구 등이 연수와 평가인증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횟수에 따라 요구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들에게 개정누리과정에 지속적인 관심과 실행을 위한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현장 안착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2019 개정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유아교사 재교육 또는 연수지원을 위한 방법 모색과 긍정적인 평가제 참여를 통한 인식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relationships, and operational support request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hich is a child-centered/play-center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tool was used to examine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operational support request fo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argeting 269 childcare teachers in J and K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to examine the childcare teacher s perception level, and the t-test, ANOVA and Scheffe follow-up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groups. Results In the results, first, the childcare teacher s perception of the composition direc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that a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autonomy of teachers was found to be high, and in addition,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field application was found to be high in terms of overall expansion and support of children s play and play tim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ining and evaluation certification participation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utonomy emphasis, the appropriateness of the pursuit of humanity, and the extension-support of children s play and play time, and the level of perception was also higher fo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Second, childcare teachers request for support for oper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required support for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reduction of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In addition, support for reference materials such as play-centered field application casebooks and teacher guidebooks, the need for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and training curriculum, and the ne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nderstand the Nuri proc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raining and evaluation certification participa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request was high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 Conclusion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for a successful on-site settlement of the children-centered-play-centered curriculum in order for childcare teachers to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and practice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upport re-education or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improve perception through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evalua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례(Kim, Dong Rye). (2022).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 313-327

MLA

김동례(Kim, Dong Rye).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2022): 313-3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