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F 타임리프 영화에 나타난 과학기술주의의 “시간의 공간화” 연구

이용수 187

영문명
The Study of Technoscientific Spatialization of Time in Science Fiction Time Leap Cinem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조성훈(Jo Sunghuu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3호, 291~32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학이나 예술에 비해 현대에 태동한 영화는 현대 과학기술과 긴밀히 연계되어 발전해왔다. 특히 SF에서 타임리프를 소재로 하는 내러티브는 과학기술 분야의 학문적 성과들을 상상에 의해 시청각적으로 구현한다. 이런 점에서 SF 영화와 같은 대중문화 콘텐츠는 과학기술의 발전 단계와 미래의 실현 가능성을 가늠하는 자료로서, 그리고 과학기술의 전문지식이 일반인들에게 상식적으로 전파되는 매개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과학기술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상대적인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SF 영화들 속에 재현된 과학기술주의의 실천과 경향을 고찰하는 것은 인간과 생명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도이다. 본 연구는 최근 SF영화들이 재현하는 과학기술주의가 “시간의 공간화”라는 문제설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문제설정이 인간과 생명을 이해하는 양상을 고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spatialization of time in Science Fiction (SF) Time Leap movies, considering the way that they deal with time as space on the basis of modern scientific hypotheses. The spatialization of time in SF Time Leap cinema has its theoretical basis primarily in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according to which time and space, as the conceptual Time-Space combination, can be reduced to each other, and can consequently vary with their relative systems. Einstein’s Theory was philosophically examined and criticized by Henri Bergson. Bergson criticized that the time proposed in the theory was not the one substantiall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real change or duration, but rather just the fictional, symbolic, scientific, or physical one represented by their correlative systems. For this reason, physical time in the latter sense can be arbitrarily operated and manipulated as dividable space. In the pursuit of this inquiry, I intensively research an argument on the theory set forth by Bergson in his book Duration and Simultaneity that was criticized for its confusion regarding space, time, and the spatialization of time. I also further investigate errors in science-technology-centered thought dominating the idea of SF Time Leap cinema by applying Bergsonian criticism to the scientific thoughts behind respective works of the genre, such as Déjà vu, Interstellar and Predestination. These works are generally based on the physical spatialization of time, featuring stories about time travel or time machines. Furthermore, the spatialization of time can lead to the tendency considering everything, unlike with time as duration, as a function in that space, a means that is reversible, dividable, manipulatable, and functionalizable. Seeking maximum efficiency, science-technologycentrism attempts to transmute time as qualitative duration into quantitative transition, and minimizes the quantity of time to a brief moment. Accordingly, time is required to be spatial. In this sense, a time machine is not just a metaphor, but is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dex to actualize the delusion of the possibility of time-obliteration. This study criticizes the view on time and human nature that is implicitly assumed in science-technology-centered thought with the ontological confusion caused by the spatialization of Time and Being. The study also proposes new ways of thinking about human nature in a posthuman era preoccupied by science-technology-centrism.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과학과 인문학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훈(Jo Sunghuun). (2019).SF 타임리프 영화에 나타난 과학기술주의의 “시간의 공간화” 연구. 문화와융합, 41 , 291-328

MLA

조성훈(Jo Sunghuun). "SF 타임리프 영화에 나타난 과학기술주의의 “시간의 공간화” 연구." 문화와융합, 41.(2019): 291-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