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꿀’의 의미구성 연구

이용수 179

영문명
Meaning Construction of the Korean Word ‘kkul’: Based on Conceptual Blending Theor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앙쿨 티띠왓(ANGKULA TITIWAT)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3호, 1219~125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개념적 혼성 이론’을 활용하여 ‘꿀’이라는 어휘의 의미구성을 살펴보았다. ‘꿀’은 다른 어휘나 구문과 형태적으로 많이 합성되면서 새로운 의미가 생산된다. 의미적으로 ‘꿀’은 식물이나 먹거리와 결합하여 ‘달콤하다, 맛있다, 먹음직스럽다’ 등의 의미를 가지며, 능력, 친건강, 아름다움, 신체, 감정, 교육, 경제’ 등에 관련된 어휘들과 통합하여 ‘좋다, 쉽다, 저렴하다, 능숙하다, 간편하다, 즐겁다’ 등의 새로운 의미로 확장된다. 이와 같은 비유적인 합성어는 의미상으로 불명확하므로 그 합성된 ‘꿀’과 같은 은유적 합성어의 의미가 구성되는 방식을 개념적 혼성 이론으로 해석하였다. 은유적 합성어는 단일 은유적 합성어와 이중 은유적 합성어로 나뉠 수 있으며, 단일 은유적 합성어는 단일범위 연결망으로 해석되고 이중 은유적 합성어는 다중범위 연결망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단일 은유적 합성어는 핵어가 은유적 의미를 확장하는데 반해, 한국어에서는 같은 경우에 수식어인 ‘꿀’이 은유적인 의미를 확장하는 것은 독특한 현상이다. 마지막으로 ‘꿀’의 구조적 속성은 미각적 측면, 촉각적 측면, 후각적 측면, 시각적 측면 등으로 되어 있는데 미각적 측면의 의미를 많이 확장하는 반면에 시각적 측면의 의미 확장은 나타나지 않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Korean word ‘kkul’ on the basis of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by Fauconnier and Turner (2002). For this purpose, chapter 2 reviews basic notions and conceptions according to this theory. Conceptual blending occurs at the moment of perception and creates new meanings out of existing ways of thinking. This paper further offers an analysis and explanation of ‘kkul’. This can be best captured by the meaning construction in Korean based on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The direction of the meaning construction of ‘kkul’ is as follows: (i) ‘inanimate object - plant’ in the basic meaning category; and (ii) ‘taste’ ‘ability’ ‘healthy’ ‘beauty’ ‘body’ ‘emotion’ ‘education’ ‘economical’ in the constructed positive meaning model. Meaning construction is peculiar in that various types of compound words: closed form and open form, while their reception aspects differ according to how they are generated. Finally, the meaning construction of ‘kkul’ is quite active and it has a high frequency of usage; it is proposed that the word has polysemous senses and its usage information should thus be described in dictionaries.

목차

1. 서론
2. 개념적 혼성 이론
3. ‘꿀’의 의미구성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앙쿨 티띠왓(ANGKULA TITIWAT). (2019).‘꿀’의 의미구성 연구. 문화와융합, 41 , 1219-1250

MLA

앙쿨 티띠왓(ANGKULA TITIWAT). "‘꿀’의 의미구성 연구." 문화와융합, 41.(2019): 1219-1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