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폭력 가해행동 관련 억제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568

영문명
A Meta-Analysis on the restraining variables related to school violence behavio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원영(Kim Wonyoung) 김경식(Kim Kyungsi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2호, 693~71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행동 관련 억제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2006년 이후부터 2017년까지 85편의 연구물을 수집하여 메타분석 전용 프로그램인 CMA 3.0을 활용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학교폭력 가해행동과 관련 억제변인 중 가장 큰관련성을 나타낸 의미있는 변인군은 가정환경 변인군으로 나타났다. 억제변인 하위 변수와의 상관 효과크기는 개인특성 변인군의 자아통제력과 자아존중감, 가정환경 변인군의 가족 간 긍정적 관계와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학교환경 변인군의 교사 와의 관계 변수가 의미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수를 통한 분석에서는 학교급에 따라 초등학생은 개인특성 변인군에서, 고등학생은 가정환경 변인군과 가장큰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도구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측정도구가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이며, 조사연도에 따라서도 미미하지만 유의하게 관련성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논문유형에 따라서는 가정환경 변인군이 박사학위논문 에서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으며,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대책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size and moderator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behaviors and related variables. For this purpose, 86 articles published over a period of 12 years (i.e. from 2006 to 2017) and whose primary empirical data met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meta-analysi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which is a specialized program for meta-analysis was utiliz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medium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and the restraining variables. The most restraining variables are the the home environment. The restraining factors which have the highest magnitude of correlation effects are self-control and self-esteem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group;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members and affective parenting in the home environment group; a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school environment variable. Seco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school environment groups for restraining variables also had the moderator effect of school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most relative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groups and high school students to family environmental group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suggesting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from which to analyze and understand school violenc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imply that practical programs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should be developed immediately. More interesting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violence measur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and related variables.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strain variables group was subtle, but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원영(Kim Wonyoung),김경식(Kim Kyungsik). (2019).학교폭력 가해행동 관련 억제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2), 693-717

MLA

김원영(Kim Wonyoung),김경식(Kim Kyungsik). "학교폭력 가해행동 관련 억제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2(2019): 693-7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