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 5세 구름반에서 정체되어가는 역할놀이의 의미

이용수 517

영문명
The Meaning of Stagnant Role Play in Class Gureum at the Age of Fiv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순희(Lee, Soon-Hee) 정지현(Jung, Ji-H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6호, 1283~131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5세 구름반 교실에서 유아들의 역할놀이를 정체되게 만드는 발생맥락을 파악하여 그 의미를 도출함으로써 유아가 경험하는 역할놀이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역할놀이영역에서의 놀이관찰과 유아, 교사와의 면담 을 토대로 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화되고 비개방적인 물리적 공간과 낡고 구조성이 높은 놀잇감, 놀잇감의 이동제한이라는 암묵적인 놀이규칙이 만들어 낸 경직된 교실상황에 의해 유아들 의 역할놀이를 은밀하게 통제해 왔다는 것이다. 둘째, 생활주제와 관련한 역할놀이는 구름반 유아들이 스스로 선택한 흥미 있는 놀이보다는 자신이 경험해보지 못한 유아교육기관의 놀이인 새롭고 낯선 놀이로 인식되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몰입하 지 못하고 다른 놀이에 비해 관심 밖으로 멀어졌던 것이다. 셋째, 발달에 적합한 실제라는 담론으로 특정한 아동과 교사를 구조화된 형태로 억압하는 교육현장을 둘러싼 평가 위주의 체제로 인해 놀이와 학습의 모호한 경계 속에서 구름반 유아들의 역 할놀이는 정체되고 사라져 간 것이다. 본 연구는 만 5세 교실상황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역할놀이의 의미와 본질을 재정립하고 교육현장에서 역할놀이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통해 교육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role playing experienced by 5-year-old children from Class Gureum by identifying the reason and context of their stagnant role playing and drawing the meaning. For this, qualitative 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play observation in the area of role playing and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flexible classroom factors including the structured and non-open physical space, old and highly structured play materials, and the implicit play rule of movement-restricted play materials have secretly controlled the children’s role playing. Second, role playing related to everyday life topics has been perceived by the children to be new and unfamiliar play that is suggested by the children’s education institution, which they have not yet experienced, compared to the interesting play that the children of Class Gureum would choose by themselves; this is why they could not participate orbe immersed in the play actively and showed more interest in other types of play. Third, the evaluation-focused system surrounding the educational ground, which represses particular children and teachers with a structured format under the discourse of practice appropriate for development, has made role playing of the children of Class Gureum stagnant and disappear in the ambiguous boundary between play and learning. This research re-establishes the meaning and nature of role playing experienced by children aged 5 in classroom situations and implies that new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 on role playing at the educational field can be utilized as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순희(Lee, Soon-Hee),정지현(Jung, Ji-Hyun). (2019).만 5세 구름반에서 정체되어가는 역할놀이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6), 1283-1313

MLA

이순희(Lee, Soon-Hee),정지현(Jung, Ji-Hyun). "만 5세 구름반에서 정체되어가는 역할놀이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2019): 1283-13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