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청소년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546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olescent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 handicapp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유진(Jeong Yu Jin) 김영희(Kim Yeong 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5호, 517~54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15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초기 청소년 604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20일~3월 28일까지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구실 만들기,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과 AMOS 22.0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자기구실 만들기와 정적 상관관계, 정서인식 명확성과는 부적 상관관계,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구실 만들기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 하고 이를 검증한 결과, 정서인식 명확성이 부분 매개하는 연구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구실 만들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들을 확인하여 초기 청소년의 자기구실 만들기 감소 및 예방을 위한 상담 개입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olescent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 handicapping. For this purpose, for604 fifth and sixth grade early adolescent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a scal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elf‐handicapping and emotional clarity from March 20 to March 28, 2018. Data process was performed with SPSS 23.0 and AMOS 22.0. To summariz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handicapp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perceptual clarity, an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self‐handicapping. Second, in the results of setting up and verifying a research model and a competition model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handicapping, the model partially mediated by the emotional perceptual clarity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Thes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data for the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reducing and preventing early adolescents’ self‐handicapping by identifying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self‐handicapp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유진(Jeong Yu Jin),김영희(Kim Yeong Hee). (2019).초기 청소년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5), 517-544

MLA

정유진(Jeong Yu Jin),김영희(Kim Yeong Hee). "초기 청소년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2019): 517-5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