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사과 교과역량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이용수 535

영문명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on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문영주(Mun YoungJu) 이해영(Lee Hae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5호, 347~36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교과역량을 반영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후 실행주체인 교사들이 교과역량을 어떻게 인식하며 실천하고 있을까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되었다. 수업 활동과 관련하여 교과역량의 인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역사교사 20명에게 2회에 걸쳐 온라인 서술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2018년 3월-4월에 걸쳐 이루어졌고 2차 조사는 2018년 5월에 실시되었다. 설문 결과를 보면, 대다수 교사들은 교과역량을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로 분류하여 실천하고 있었다. 또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을 강조하였으며 각 교과역량들을 모두 별개로 인식하여 역사내용과 활동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지 못하였다. 교사들이 역사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로 교과역량을 분류하여 파악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역사 사실 이해 역량은 단순히 용어나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포괄적으로 역사적 사실 간의 인과관계나 연속성과 변화, 역사 해석이나 관점 등 역사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역량으로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또 역사 자료 분석과 해석, 역사 정보 활용 및 의사소통, 역사적 판단력과 문제 해결 능력의 3개 역량은 역사적 상상 등의 역사의 특성을 보완하여 기능 역할을 하는 교과역량으로 제시할 수 있다. 또 역사적 가치와 태도는 특정 성취기준이나 주제에서만 집중적으로 드러나는 정체성과 상호존중보다는 사회적으로 합의가 되면서도 현재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가치, 역사교육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how teachers perceive and implement curriculum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flecting curriculum competenc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the teachers classified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e into knowledge, function, value and attitude. It also emphasized class activities based on student activities. Each of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recognized separately, and the historical nature and contents of history were not revealed because history contents and activities did not have an organic combination. The competency to understand history facts is not merely a description of terms or concepts, but rather needs to be set more broadly as a capacity to demonstrate the nature of history, such as causality, continuity and change in historical facts,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perspectives. In addition, the three subject competencies of historical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histor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nd communication, historical judgment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should be complemented by histo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storical imagination. Historical values and attitudes should demonstrate values that are emphasized in current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ttitudes that show th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while being socially agreed, rather than identity and mutual respect that are concentrated only on specific achievement criteria or subjec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교사들이 인식하는 역사과 교과역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영주(Mun YoungJu),이해영(Lee HaeYoung). (2019).역사과 교과역량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5), 347-366

MLA

문영주(Mun YoungJu),이해영(Lee HaeYoung). "역사과 교과역량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2019): 347-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