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습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5

영문명
Studies on the In-Class Training Period of Probationary Teachers: Focusing on Alien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전현욱(Jeon, Hyun Woo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6호, 415~44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수습교사의 소외된 교직생활에 대한 보고다. 연구를 위해 사과초등학교에서 수습교사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정지찬과 박혜은, 두 사람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질적 연구의 주요 자료 수집 방법인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현지문서 수집의 방법으로 다양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수습교사란 수업을 하는 사람, “교무행정업무”를 보조함으로써 과도한 업무에 따른 교사들의 고단함을 덜어 주는 사람을 의미했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수습교사는 단지 “잡일”, “허드렛일” 을 하는 “행정보조”에 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수습교사에 대한 자기 이해와 현실 사이의 괴리 속에서 수습교사들은 소외를 체험하였다. 분석 결과 소외는 크게 ‘사회화적 소외’, ‘문화적 소외’, ‘시스템적 소외’, ‘관계적 소외’, 그리고 ‘교육적 소외’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의 유지, 지속, 발전을 위해 교직 후속세대의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과 함께 교사들의 일상을 교육이라는 ‘삶의 형식’으로 재조직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그에 관한 연구를 동료 연구자들에게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report on the alienation experienced by probationary teachers during their in-class training period. For this research, we recruited two research participants, Ji Chan Jung and Hye Eun Park, who had previously worked as probationary teachers at the Sagwa Elementary School. W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ata using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for qualitative research -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ion of local documen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a probationary teacher referred to a person who taught classes and alleviated teachers’ fatigue resulting from heavy workloads by assisting in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However, the reality was quite different. Probationary teachers were only “administrative assistants” who did “chores.” In this gap between the self-understanding of probationary teachers and reality, probationary teachers experienced alien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classified alienation broadly into five types: “sociological alienation,” “cultural alienation,” “systemic alienation,” “relational alienation,” and “educational aliena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o ensure maintenance, sustain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scholastic community, we argued for the need to take a close and keen interest in the training of future generations of probationary teachers as well as to reorganize their daily lives into a ”particular format” as set forth in education manuals. Last, we have also proposed to fellow researchers possible studies in related topics.

목차

I. 들어가며
II. 연구 방법
Ⅲ. 나는 수습교사다
Ⅳ. 수습교사의 소외 유형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현욱(Jeon, Hyun Wook). (2016).수습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6), 415-444

MLA

전현욱(Jeon, Hyun Wook). "수습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2016): 415-4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