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역량의 타당성 분석

이용수 2214

영문명
Validity Analysis of Subject-specific Competency in 2015 Revised Integrated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이화(Kang E wh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2호, 815~83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요한 쟁점의 하나는 핵심역량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이 교육과정 각론의 교과역량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각 역량은 타당하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 정 문서상에서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과역량이 드러나는지, 그 역량들 간 의 관계와 긴밀성 등 구조적 특징은 무엇인지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분석하였 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핵심역량 여섯 가지 가운데, 세 통합교과 교 육과정에는 심미적 감성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자기관리 역 량, 공동체 역량 다섯 가지가 중점적으로 나타났고 그것들은 서로 긴밀한 연결 구조 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통합교과에서 추구하는 공통역량인 의사소통 역량은 미비 한 중요도를 보였고 고립된 형태로 나타났다. 각 교과별로 분석한 결과, 통합교과에 서 핵심역량이 교과역량으로 가장 적극적으로 반영되는 교과는 ‘즐거운 생활’이었 다. 이에 총론의 핵심역량을 각론의 교과역량으로 구현하고자 할 때 나타나는 문제,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교과역량의 선택과 균형의 문제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ne of the hot issu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the key competenc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any sort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key competency presented in the curriculum guideline and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in the subject curriculum, and whether each competency is reasonably reflecte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whether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is revealed on the curriculum documents focusing on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and what are structural features such as relationships among competencies and coherence. Among the six key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guideline, five competencies such as the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the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the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the community competency appeared mainly, and they had a close connection structure. However, the common ability,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appeared in very much insufficient and isolated way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ach subject, the subject which reflects and pursues the key competency as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most actively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Enjoyable Life’. Even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was found not to function as a common integrated curriculum competency. Thereupon, two problems are brought up: one is the time when you just want to put the key competency of the curriculum guideline into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of the subject curriculum, and the other is the importance and the balance among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appearing in each subject curriculum.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역량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이화(Kang E wha). (2015).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역량의 타당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12), 815-835

MLA

강이화(Kang E wha).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역량의 타당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2015): 815-8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