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이용수 40

영문명
Challenges and demands for support in the teaching process to teaching by special teacher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guid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유장군 최현석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713~74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교직 생활을 지원하려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교에 재직 중인 시각장애 특수교사 3명으로 수행되었으며, 내러티브 방법에 기초하여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수행의 원동력 영역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다양한 동기로 특수교사를 지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은 지체장애학교에 발령받은 후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였으나, 강인한 의지, 학생과의 정서적 유대감, 동료 교사의 지지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원동력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직 수행의 어려움 영역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타 장애영역의 특수학교 발령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지체장애학교에 근무하면서 신체활동 지원 및 안전사고의 대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직 수행의 지원 방안 영역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효율적인 교직 생활을 위하여 보조인력 및 보조기기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인적, 물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각종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져야 함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생활을 위해서는 장애특성과 장애정도를 고려한 실질적인 지원 제도가 구축되어야 함을 이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eaching adaptation process of special teacher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guid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propose ways to support efficient teaching lif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hree special teachers with visual impairments working at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narrative methods. The questionnaire area for the study was divided into the driving force of teaching performance, difficulty in teaching performance, and support for teaching performance, and 11 sub-topics and 45 semantic units were created.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applied for special teachers with various motives in the area of the driving force of teaching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faced many difficulties after being assigned to the school for physical disabilities. However, their firm will, emotional bond with students, and support from fellow teachers were the driving force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Second, in the area of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teaching profess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positively aware of the issuance of other types of special schools with disabiliti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had difficulty supporting physical activities and coping with safety accidents while working at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ies. Third, in the area of support measures for teaching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human and material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for efficient teaching life and that various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practical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for the teaching life of special teachers with visual impairments.

목차

I .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장군,최현석. (2024).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1 (3), 713-740

MLA

유장군,최현석.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1.3(2024): 713-7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