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이용수 88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Principal Leadership of Small Scale Middle School in a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한나 김병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545~57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의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심층면담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인 A교장의 리더십으로 ‘통찰력 리더십’, ‘신뢰 리더십’, ‘나눔 리더십’이 나타났다. ‘통찰력 리더십’유형에는 ‘돌봄이 필요한 학생들’, ‘심리지원이 필요한 교사들’, ‘진짜 교장은 리더’의 모습이 나타났고, ‘신뢰 리더십’유형에는 ‘진정성’, ‘믿음 가는 교장’, ‘업무보다는 관계’로 나타났다. ‘나눔 리더십’유형에는 ‘철학나눔’, ‘비전나눔’, ‘마음나누기’로 나타났으며,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교장과 교감 자격연수에 실제 상황이 반영되도록 집단상담의 시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계속 늘어나는 소규모 중학교에서 시대와 상황에 맞게 모든 교원에게 리더십 함양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장의 리더십이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로 확대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leadership of small scale middle school in a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insight leadership', "trust leadership', and "sharing leadership' were found to be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 a small scale middle school in a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n the "insight leadership' type, "students in need of care', "teachers in need of psychological support', and "the real principal is the leader' appeared. And the types of "trust leadership' were "authenticity', "trustworthy principal', and "relationship rather than work'. The types of "sharing leadership' were "philosophy sharing', "vision sharing', and "sharing hear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time for group counseling should be prepared to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in the qualification training for the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Secon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leadership for all teachers according to the times and circumstances in small-scale middle schools that continue to increase. Third,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 should be expanded not only to teachers but also to students, parents, and local communities.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과정
IV.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