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47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Factors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Fairness and Teaching Dedi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신민철 /I-Scream Media 1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377~40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심리적 소진의 요인인 교권에 대한 위기감, 무능감, 좌절감, 행정업무 부담감, 교직 회의감이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을 매개로 교사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567개의 유효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만족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소진 요인 중 위기감, 무능감, 좌절감, 교직회의감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행정업무 부담감은 유의한 직접효과가 없었다. 셋째, 무능감과 행정업무 부담감은 조직공정성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간접효과가 있었다. 넷째, 무능감, 좌절감, 행정업무 부담감, 교직회의감은 교직헌신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무능감과 교직회의감은 부정적 효과, 좌절감과 행정업무 부담감은 정적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심리적 소진 완화와 직무만족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ructurally examined the impact of psychological burnout factors (Crisis of teacher authority, Sense of incompetence, Frustration, Administrative work burden, Cynicism toward teaching) on job satisfa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diated by organizational justice and commitment to teaching. To achieve this, valid responses from 567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in which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factors partially mediates job satisfaction and affects turnover intention showed excellent fit. Second, among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burnout, crisis, incompetence, frustration, and disillusionment with teaching had a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while the burden of administrative work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Third, incompetence and the burden of administrative work had negative in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organizational justice. Fourth, incompetence, frustration, the burden of administrative work, and disillusionment with teaching had in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commitment to teaching, with incompetence and disillusionment having negative effects, and frustration and the burden of administrative work having positive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to alleviat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enhance job satisfaction.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작가정신 대여전
  • [윙하단] 시사북스 JLPT 기획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