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Teaching Life of Elementary Branch School Teachers in Remote Area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김동현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655~6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벽지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시사점과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분교장에 완전참여관찰하며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지 자료 조사 등 문화기술지 중심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적 연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는 교사의 직무와 역할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분교장 교사로서 ‘해야 하는 일’, ‘이제껏 해왔던 일’, ‘해야 할 것 같은 일’, ‘차마 어찌할 수 없는 일’ 등 4개의 상위범주와 18개의 하위범주로 구성하였다. 분교장 교사로서 ‘해야 하는 일’은 ‘복식학급 운영하기’, ‘학생 생활 지도하기’, ‘교무분장 업무 처리하기’, ‘회의 및 연수 참석하기’ 등이 있었으며, ‘이제껏 해왔던 일’은 ‘먹을거리 챙겨주기’, ‘본교 방문하기’, ‘학생 하교시키기’ 등이 도출되었다. ‘해야 할 것 같은 일’은 ‘학교 전화 받아내기’, ‘학교 시설 관리하기’, ‘지역주민 응대하기’, ‘점심 챙겨주기’, ‘다양한 경험 시켜주기’, ‘일상생활 돌보기’, ‘분교장끼리 협력하기’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차마 어찌할 수 없는 일’은 ‘학교 시설 개선하기’, ‘학교 비우고 출장 가기’, ‘한 학년만 데리고 체험 활동 참여하기’, ‘통폐합 설득하기’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직무가 올바르게 수행되고 역할을 제대로 이행하여 더 나은 분교장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해야 하는 일’에 대한 역할지각이 명확한 교사가 분교장에 전입할 수 있는 교사 선발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국가와 교육청, 관리자의 분교장에 대한 인식 변화와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depth the teaching life of the teachers of the elementary branch school located in remote area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mplete participated in the branch school and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centered on ethnography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field material examinati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were analyzed based on the teacher's job and role, and consisted of four upper categories and 19 lower categories: ‘Must-do jobs’, ‘Jobs I have done so far’, ‘Jobs I feel like I should do’, and ‘Jobs that I can’t do’. As a branch school teacher, ‘Must-do jobs’ included ‘managing multiple grade class’, ‘guiding students school life’, ‘handling school affairs', and ‘attending meetings and training', and ‘Jobs I have done so far’ includes ‘taking care of students things to eat', ‘visiting the main school', and ‘helping students go home from school'. ‘Jobs I feel like I should do’ consisted of ‘get a call to school’, ‘managing school facilities’, ‘responding to local residents’, ‘making lunch for students’, ‘giving students a variety experiences’, ‘taking care of student’s daily life’, and ‘cooperating with branch schools’, while ‘Jobs that I can’t do’ included ‘improving school facilities’, ‘going on a business trip after class’, ‘taking only one grade to participate in experience activities’, and ‘persuading parents about closing branch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improve the teacher selection process in which teachers with a clear sense of role in ‘Must-do jobs’ can transfer to the branch school in order for the teacher's job to be performed correctly and the role to be fulfilled properly to achieve better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branch school. In addition, the government, the Office of Education, and principal proposed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branch school and the need for support.

목차

I . 들어가며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현. (2024).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1 (3), 655-682

MLA

김동현.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1.3(2024): 655-6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