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용수 38
- 영문명
-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mprovement of Child Abuse-Related Laws: Focus on Teachers Reported for Child Abuse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고영규 최서연 유은혜 김민제 김주연 김진솔 성동아 신성민 양하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83~1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이 인식한 아동학대 관련 법률(아동복지법,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초·중등 교원 중 아동학대 피신고 경험자 9명의 면담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주제분석(Inductive Thematic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무혐의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은 아동복지법 및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문제점으로 훈육과 정서학대 구분의 어려움, 생활지도의 무력화, 아동학대 신고의 불만 표출 도구화, 아동학대 수사의 장기화와 과중한 절차, 지나치게 긴 공소시효, 의심만으로 가능한 아동학대 신고, 무고성 신고에 대한 처벌 조항 부재, 아동학대 신고의무제도의 오남용을 지적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는 아동학대 법률의 구성요건 강화, 법률에 교육활동과 아동학대를 구분하는 조치 필요,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엄정한 대응, 아동학대 수사 기간 및 절차의 단축, 아동학대 공소시효 단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원들이 아동복지법 및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여 향후 교원 대상 아동학대 신고의 처리절차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Child Welfare Act and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as perceived by teachers who were reported for child abuse, and the ways to improve them. To do so, we used interview data from nine teachers in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who had been reported for child abus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pointed out the following problems with the Child Welfare Act and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between discipline and emotional abuse, neutralization of student discipline, instrumentalization of complaints, prolonged and excessive procedures in child abuse investigations, excessively long statute of limitations, reporting child abuse based on suspicion alone, lack of punishment for innocent reports, and misuse of the mandatory child abuse reporting system.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included strengthening the components of the child abuse law, distinguishing between educational activities and child abuse in the law, strictly responding to innocent reports of child abuse, shortening the duration and procedures of child abuse investigations, and shortening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child abus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difficulties faced by teachers in dealing with the Child Welfare Act and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handling of child abuse reports against teachers in the future.
목차
I . 서론
II. 법제 및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분석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