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이용수 41
- 영문명
-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School Field Practice in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대영 고민정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351~3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현장실습은 예비 교원들의 학교 현장 적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대표적 교과목 중의 하나로,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학교현장실습은 짧은 실습 기간, 실습 전담 교수‧지도 교사의 전문성 부족, 현장 기반 실습 프로그램 부족 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교현장실습의 개선이 교직과정과 연계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중등 교직과정과 연계한 학교현장실습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핀란드, 프랑스, 미국, 일본 등 해외 주요 대학의 학교현장실습 대상 학년, 실습 시기, 실습 기간, 실습 교과목, 실습 이수학점, 교원양성체제 등 여섯 가지 항목을 분석 틀로 활용해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 및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적합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교직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개편을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교직과정 개편과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학교현장실습과 관련 교과목 및 편성·운영 학점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교현장실습 과목 및 기간을 연장할 경우 예비교원 및 단위학교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School field practic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ubjects that can enhance school field suitability and occupies an important part of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However, school field practice in Korea exhibits various issues such as short practice periods, lack of expertise among dedicated practice professors and mentor teachers, and insufficient field-based practice program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roblems found in insufficient field-based practice within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pecifically, since the improvement of school field practice must be linked to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is study seeks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for school field practice in connection with secondary teacher training courses. To achieve this, we analyzes six items using an analytical framework: target grades for school field practice, practice timing, practice period, practice subjects, practice completion credits, and teacher training system in major universities abroad, including Finland,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 derived results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a comprehensive reform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enhance its relevance to the field. Second, in relation to the reform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t will be necessary to prioritize the diversification of school field practice related courses, as well as the allocation and management of credits. Finally, if the school field practice course and duration are extende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measure should be prepared for pre-service teachers and individual schools.
목차
I . 서론
II. 선행연구 분석과 연구 분석 틀
III. 해외 주요국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