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이용수 116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eachers’ efforts to develop student agency in their teaching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수 서경혜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167~19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교육에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열풍이 불고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는 우리 교육이 그간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했다는 비판적인 성찰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간 학생 주도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학생 주도성을 함양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어오면서, 실제 교사들이 현장에서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교사들이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떠한 고민, 어려움, 갈등을 경험하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의 선택과 참여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의 노력은 진도, 시험 등 입시 경쟁 체제 하에서의 현실적인 필요와 요구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 주도성을 제고를 위한 공동주체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고민과 갈등이 깊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 교육 체제가 ‘교과’와 ‘학생’, ‘지식’과 ‘경험’,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기보다 그 사이에서 정교하게 균형을 잡아가며 교사와 학생을 수업의 공동주체로 세워야 함을, 특히 학교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를 논의, 결정하는 공동체적 과정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여건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focus on 'student agency' in Korea,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OECD Education 2030 framework. This shift also stems from a critical reassessment of Korean education, which has historically overlooked student autonomy. Many Korean researchers have explored ways to enhance or assess student agency. However, there is limited knowledge about how teachers foster student agency in their classroom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eachers' efforts to promote student agency in their teaching practices. Two teachers were chosen as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attempts to cultivate student agency went beyond merely offering more choices or increasing student involvement through additional activities. Instead, teachers consistently worked to create learning environments that support and encourage student agency and aimed to be co-agent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Despite these efforts, teachers faced significant structural challenges with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challenges on teachers' efforts were discussed.
목차
I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II.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V. 논 의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